![]() |
(사진 왼쪽부터)문인 북구청장, 김민석 국무총리, 강기정 광주시장이 집중호우 피해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
앞서 지난 17일 기록적인 폭우가 내리면서 북구 신안교, 문흥동 성당, 죽림지하차도, 운암동, 석곡동, 건국동 일대 등에서는 교량 침하, 하천 범람, 도로·농경지 침수, 차량 유실 등 피해가 속출, 139명의 주민이 긴급 대피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문 구청장은 호우 피해 현장을 방문한 김 국무총리에게 침수·붕괴 등 주요 피해 현황, 이재민 발생과 대응 상황 등을 보고하며, 기초지자체 대응을 넘어선 국가 차원의 복구 지원과 국비 투입을 건의했다.
특히 특별재난지역 지정을 요청했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면 재해 복구와 이재민 구호를 위한 국비 지원이 가능해져 피해 복구에 속도를 낼 수 있다.
이와 별개로 정부에서는 이번 피해의 심각성을 인지해 오는 21일부터 행정안전부 소속 공직자 30여명을 북구에 파견해 ‘피해자 통합지원센터’ 운영에 나선다.
통합지원센터는 북구 행복어울림센터에 마련되며 호우 피해 민원 접수, 이재민 구호·의료 상담, 응급 복구 지원, 복구 자금 금융 지원 상담 등 전방위적 업무를 제공한다.
현재 북구는 집중호우로 약 150억원 규모의 재산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향후 공식 피해조사를 통해 정확한 피해 규모를 확정할 예정이다.
북구는 지난 2020년 8월, 100년 빈도의 집중호우로 약 140억원의 재산피해를 입어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됐으며, 당시 국비 약 116억원을 지원받은 바 있다.
문인 북구청장은 “모든 역량을 동원해 수해 복구에 최선을 다하고 있으나 자치구의 한정된 인력과 재정만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실정이다”며 “정부의 특별재난지역 지정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신속한 복구를 통해 피해 주민들이 하루빨리 일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북구는 폭우가 시작된 지난 17일 새벽 재난안전 비상 3단계를 발령하고 전 직원 비상근무 체제에 돌입, 이재민 임시대피소 설치와 침수지역 긴급 배수 작업, 도로·공공시설 응급 복구 등 주민 불편 최소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산하 기자 goback@gwangnam.co.kr
이산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