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는 세계 최대 단일 석유화학단지로, 전남은 물론 대한민국 제조업의 핵심 축이였던 이곳이 현재 글로벌 공급과잉, 수출 둔화, 산업용 전기요금 급등, 환경 규제 강화 등 대내외 악재가 겹치면서 산업 전반에 경쟁력이 크게 떨어진 데 따른 것이다.
그래서 전남도는 최근 여수산학융합원에서 ‘여수 석유화학산업 위기대응 협의체 회의’를 열고, 3707억 원 규모의 단기 지원사업과 함께 ‘국가기간산업 특별법’ 제정, ‘석유화학 대전환 메가프로젝트’ 등 중장기 대응 계획을 여수시, 산업계, 노동계, 유관기관 등과 공유했다.
전남도는 이 자리에서 여수 지역을 중심으로 3700억 원대의 19개 단기 맞춤형 지원사업을 정부에 건의하고, 일부 사업은 이미 실행 단계에 들어섰다고 밝혔다.
단기 맞춤형 지원은 현장 밀착형 대책사업으로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상 긴급경영안정자금 및 보증 지원, 고용유지와 복지비 지원, 지방투자촉진 보조금 확대, 여수사랑상품권 특별 할인 등을 말한다.
또 이번 위기를 산업 체질 개선의 기회로 삼기 위해 탄소포집·활용·저장(CCUS) 클러스터 조성, 친환경 화학산업 특화단지 지정, 바이오납사 기반 저탄소 기술개발 등 미래전략산업 육성 계획도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를 위해 국회에 정부 주도의 구조조정과 규제 특례를 가능케 해 산업 전반의 체질 개선과 기술 고도화를 뒷받침하는 핵심 법제도인 ‘국가기간산업 경쟁력 강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정도 건의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