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의 시간 양동민 정치부장 양동민 기자 yang00@gwangnam.co.kr |
2022년 03월 06일(일) 18:50 |
![]() |
오는 9일은 제20대 대한민국 대통령을 뽑는 날이다. 이번 대선에 출사표를 던진 여야후보는 이재명(더불어민주당), 윤석열(국민의힘), 심상정(정의당), 안철수(국민의당), 오준호(기본소득당), 허경영(국가혁명당), 이백윤(노동당), 옥은호(새누리당), 김동연(새로운물결), 김경재(신자유민주연합), 조원진(우리공화당), 김재연(진보당), 이경희(통일한국당), 김민찬(한류연합당·이상 기호 순) 등 총 14명에 이르렀다.
하지만 선거 막판 후보간 단일화로 실제 후보는 12명으로 조정됐다.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가 사전투표일을 하루 앞 둔 지난 3일 후보 단일화에 합의했다.
앞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김동연 새로운물결 대선후보와 단일화를 서명한 지 하루만의 일이다.
야권 후보간 단일화는 공교롭게도 공직선거법상 본투표를 6일 앞둔 날로 여론조사 결과 공표가 금지되는 바람에 단일화 민심의 향방조차 가늠하기 어려운 시계 제로의 ‘깜깜이 선거’가 됐다.
표심 흐름을 살펴볼 수 없는 ‘블랙아웃’ 기간에 접어들면서 유권자들도 혼란에 빠졌다.
본투표를 앞두고 있지만 후보를 결정하지 못했다는 유권자도 여전하다. 역대 가장 비호감 선거라고 일컬어질 만큼 혼탁한 대선이라는 평가가 나올 정도니 국민들이 쉽게 결정을 하지 못하는 것도 이해가 간다.
그동안 발표된 각종 여론조사 지표에서 유력한 후보들의 당선 가능성이 초박빙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은 것 같다. 때문에 이번 대선은 역대 대선 가운데 가장 진영 대결이 심하고 선거 이후 적잖은 후유증이 예상된다는 게 정치평론가들의 중론이다.
그럼에도 유권자 선택의 시간은 찾아왔고, 지난 4~5일 사전투표가 마무리됐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지난 4일부터 이틀 동안 진행된 20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에 총 선거인 4419만7692명 가운데 1632만3602명이 참여한 것으로 잠정 집계했다.
코로나 확진자·격리자 투표가 대혼란을 겪으며 투표 마감이 4시간가량 지연되는 등 파행을 겪기도 했지만, 전국 유권자의 36.93%가 이미 차기 대통령을 선택한 것이다.
오는 9일 대선 본투표다. 유권자가 고민을 할 수 있는 시간도 이틀밖에 남지 않은 셈이다.
그렇다면 어떤 사람을 뽑아야 할까?
각 당의 후보자들은 너나 할 것 없이 수많은 공약과 정책을 하루에도 수차례 경쟁적으로 쏟아내며 국민의 선택을 기다리거나 공론을 이끌어내고 있다. 미래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하며 선택받는 자리임과 동시에 책임지는 권한을 가진 자리이기에 심사숙고해 마련된 공약과 정책으로 호소하고 있다.
코로나 펜데믹,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 그리고 불안한 북핵, 미중 패권경쟁의 틈바구니 속에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현실은 녹록치 않다. 이런 국내외적 위기상황을 현명하게 대처하고 벼랑끝으로 내몰리고 있는 국민들의 삶을 보살피고 향후 5년간 우리나라를 지속가능한 성장과 안정, 공정한 사회로 이끌 지도자를 선택해야 한다.
특히 위기에 처한 지방으로서는 5년 만에 찾아온 이번 기회를 나 몰라라 방관할 수만은 없다.
지방 위기를 극복할 각 후보의 공약을 꼼꼼하게 살펴봐야 한다.
그러나 이번 대선 또한 예외는 아니다. 각 가정에 전달된 ‘제20대 대통령선거 책자형 선거공보’를 뜯어 찬찬히 읽은 지방 유권자라면 자치분권과 균형발전의 길이 얼마나 멀고 험한지 실감하게 된다.
모든 후보가 지방의 요구를 외면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책자형 선거공보가 공약의 전부는 아니지만 유권자가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공약이라는 점에서 후보의 진정성을 엿 볼 수 있다.
지방 위기 극복에 대한 구체적인 공약이 보이지 않는다면, 앞으로라도 지방에 위기를 챙길 후보가 어느 쪽인가를 고민해 봐야 한다.
사전투표를 하지 않았거나, 아직도 후보를 결정하지 못한 유권자라면, 지금이라도 집에 도착한 책자형 선거공보를 다시 꺼내 꼼꼼하게 읽어 보기를 추천하는 이유다. 선관위 권유를 따라 정당·후보자의 공약과 선거공보가 실린 정책·공약마당도 참고하면 좋을 듯 싶다.
다시 말해 공약은 정치권이 민심을 얻는 대가로 쓴 차용증이라고 해도 된다. 유권자는 이를 근거로 언제든 부채를 갚으라고 요구할 수 있다. 공약을 지키게 하는 것도 유권자의 몫이라는 데 딴지를 걸 사람은 없을 것이다.
아무리 비호감 대선이라 해도 지방과 나라의 미래를 결정할 소중한 한 표를 포기 해서는 안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양동민 기자 yang00@gwangnam.co.kr 양동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