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뇨감·복부 통증 땐 전립선염 의심을" 불쾌감·성 기능 감퇴 등 삶의 질 저하 유발 이산하 기자 goback@gwangnam.co.kr
도움말=김병우 강남행복한의원 원장 |
2024년 02월 19일(월) 18:58 |
![]() |
김병우 강남행복한의원 원장 |
서구화된 식생활과 하루하루 쌓여가는 스트레스로 전립선 관련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전립선이 커지면서 소변을 시원하게 보지 못하는 전립선비대증은 환자는 최근 5년간 매년 13.7%씩 늘어나고 있을 정도다.
전립선비대증이란 전립선이 커지면서 소변이 나오는 통로가 좁아져 소변이 바로 나오지 않거나 소변 줄기가 가늘어지고 소변을 본 직후에도 잔뇨감이 남아있는 증상을 말한다. 40대 이후의 중년층에서 전립선비대증을 많이 보이고 있으면 젊은 층에서는 전립선염이 많이 발견된다.
전립선염은 말 그대로 전립선 조직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일반적으로 전립선염이 생기면 우선적으로 소변에 이상이 생긴다고 생각하고 소변에 이상이 없으면 전립선염이라고 생각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별다른 소변 증상 없어도 전립선염은 생길 수 있다.
전립선염의 대표적인 초기 증상은 크게 소변, 통증, 성 기능으로 볼 수 있다. 소변을 본 뒤 잔뇨감이 남거나 하복부나 회음부에 통증을 느끼거나 성관계 시 발기력, 혹은 지속시간에 이상이 생길 때 전립선염을 의심할 수 있다.
지난 일주일 동안 고환이나 항문 사이, 성기의 끝, 치골 부위에 통증이나 불쾌감을 동반하거나 소변을 본 후에도 소변이 방광에 남아 있는 것처럼 느낀 경우, 소변을 볼 때 뜨끔뜨끔한 느낌을 받은 경우에도 전립선염을 의심할 수 있다. 또한 성관계 시 절정감을 느낄 때 또는 그 이후에 불쾌감을 받은 적이 있다면 병원을 찾아 진단을 받을 필요가 있다.
![]() |
김병우 강남행복한의원 원장이 병원을 내원한 환자를 살펴보고 있다. |
세균성 전립선염의 경우 세균에 의한 염증으로 발병하는 것으로 치료 또한 간단하다.
문제는 비세균성 전립선염이다. 비세균성의 경우 발병원인이 확실치 않을 뿐 아니라 그 치료기 간 또한 길며 재발률이 높아 완치됐다고 생각하는 순간 다시 재발하기 한다.
만성 세균성 전립선염은 치료가 장기화하는 경우가 많아 우울증 등의 신경 증상을 동반하기도 한다. 또한 발기부전, 조루증 같은 성 기능 감소와 삶의 질 악화 등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흔하기 때문에 꼭 치료해야 하는 질환이다.
순수 한의학 이론에 따른 처방 중 ‘이수비뇨탕’은 만성 세균성 전립선염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다.
특히 전립선염 환자의 배뇨 및 소변 기능, 통증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전통 한약이다. 전립선 계통의 기관이 더욱 튼튼해지고 전신적인 기본 체력도 회복이 돼 더욱 컨디션을 되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약의 복용만으로도 전립선염 치료가 가능하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으로 꼽힙니다.
치료 중인 전립선염 환자는 술을 멀리해야 한다. 음주를 하면 갈증을 일으키고 평소보다 더욱 물을 많이 마시게 돼 소변이 늘어나고 전립선에 자극을 줘 질환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어서다.
아울러 전립선 질환을 평소 예방하기 위해서는 기름진 식단과 흡연, 과음을 삼가고 비타민A, D, E가 풍부한 식단을 택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산하 기자 goback@gwangnam.co.kr
도움말=김병우 강남행복한의원 원장 이산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