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대학병원 의대 교수들도 ‘집단사직 예고’ 전남대 88.7%·조선대 78.3% 자발적 사직서 제출 동의
이산하 기자 goback@gwangnam.co.kr |
2024년 03월 24일(일) 15:55 |
24일 지역 의료계에 따르면 전남대 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최근 소속 교수들을 대상으로 집단행동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교수 273명 중 257명(94.1%)이 설문에 참여해 이중 215명(83.7%)이 자발적 사직서 제출에 찬성한 것으로 확인됐다.
사직서 제출에 찬성한 교수 중 64.2%는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가 집단 사직서 제출을 내기로 한 25일에 맞춰 함께 행동하자는 의견을 표명했다.
나머지 35.5%는 의대 학생과 전공의들의 피해가 발생하는 시기에 맞춰 사직서를 제출하자는 의견을 냈다.
전남대 의대 교수 비대위는 대학병원 진료 시간을 법정 근로시간인 주 52시간으로 단축하는 방안에도 81.7%가 동의했다.
전남대보다 앞서 비대위를 구성한 조선대 의대 교수들도 설문조사를 거쳐 자발적 사직서 제출을 추진하기로 했다.
조선대 의대 비대위가 진행한 설문조사에는 전체 교수 161명 중 129명이 참여했으며, 78.3%가 자발적인 사직서 제출에 동의했다.
사직서를 25일 제출하겠다는 의견도 50%를 넘겼고 주 52시간 근로를 준수하며 진료 시간을 줄이는 방안에도 62%가 동의했다.
전공의들에 대한 정부의 면허정지 처분이 가능한 오는 26일부터는 의대 교수들의 집단사직이 더욱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앞서 집단사직한 전공의들에게 진료유지명령과 업무개시명령을 내렸지만, 전공의들이 움직임을 보이지 않자 면허정지 행정처분 사전 통지서를 보낸 뒤 행정 절차에 따라 의견제출 기한을 부여했다.
의견을 내지 않으면 정부는 즉시 면허정지 처분을 내릴 수 있다. 면허정지 기간은 통상 3개월인데, 수련 기간을 채우지 않으면 전문의 자격 취득이 1년 지연될 수 있어 일부 전공의들의 피해가 예상된다.
때문에 의대 교수들은 제자들의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집단행동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지역 의료계 관계자는 “정부가 일방적으로 의대 정원 2000명을 증원하는 것을 묵과할 수 없어 의대 교수들이 이 같은 결정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며 “전공의, 의대생들에 대한 탄압도 더 이상 지켜볼 수 없다는 교수들의 단호한 의지도 담겼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집단 움직임을 보이는 의대 교수들에 ‘조건 없는 대화’를 요청했다. 이미 지난 21일 만남을 제안했고, 교수들이 검토 후 회신을 줄 계획이라는 설명이다.
이산하 기자 goback@gwangnam.co.kr
이산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