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연된 ‘광주정신’ 헌법 수록 이유 증명 임영진 사회교육부 차장 광남일보@gwangnam.co.kr |
2024년 12월 16일(월) 18:20 |
![]() |
‘12·3 계엄사태’에 대한 분노와 실망감으로 광주·전남 지역민들이 8년 만에 광장으로 나선 가운데 가장 주목을 받은 것은 ‘나눔·연대’의 광주 공동체 정신이었다.
실제로 지난 14일 광주 금남로 일원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 촉구 집회 현장에는 카페와 식당 등에서 선결제하고, 자원봉사까지 자처하는 등 선행이 이어졌다.
실제 이날 SNS에는 개인 사정 등으로 집회에 참여하지 못하거나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싶은 이들을 위해 ‘미리 인근 상점에서 결제해 뒀다’는 글이 쇄도했다.
이에 집회 현장과 인접한 금남로와 충장로의 카페 곳곳에는 ‘집회 참여하시는 분들, 익명의 시민분께서 선결제 해줬습니다. 음료 받아가세요(아메리카노 100잔, 허브티 50잔, 자몽/레몬티 20잔)’ , ‘탄핵 집회 참석 시 아메리카노, 허브티 무료로 드립니다(선결제 완료됨)’ 등의 안내글이 내걸렸다.
1980년 5월 당시 계엄군의 총탄 흔적이 생생한 전일빌딩245 내 카페에도 100잔 넘는 선결제가 이뤄졌다. 이곳은 추가 결제가 불가능한데도 방문하는 시민마다 추가로 선결제하겠다며 카드를 내미는 모습이 이어졌다.
오월어머니도 집회 현장에서 직접 주먹밥을 만들며 광주 공동체 정신을 실천했다. 자원봉사자들은 핫팩, 어묵, 떡국 등을 시민들에게 무료로 나눠주며 서로를 보듬고 연대했다.
이번 집회를 계기로 ‘광주정신’은 과거의 빛바랜 훈장이 아니라는 것이 증명됐고, 전 세계에 회자되고 있다.
이제 정부와 국회가 응답할 때다. 광주정신을 폄훼하는 행위를 근절하기 위해 ‘5·18정신 헌법수록’이 이뤄져야 한다.
되살아난 광주 공동체 정신을 계기로 정부와 22대 국회가 5·18정신 헌법 전문 수록에 적극적으로 나서주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