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이상 약초가 아닌 양귀비 김광중 해남 옥천파출소 경위
광남일보@gwangnam.co.kr |
2025년 04월 10일(목) 17:34 |
때문에 과거 의약품이 없었을 땐 복통, 기관지염, 불면 등 상비약으로 복용했으며 여전히 허리나 다리가 안 좋은 어르신들은 양귀비를 재배하고 있다.
그러나 양귀비는 중독성이 매우 강한 물질로, 인체에 매우 유해하다. 처음에는 고통이 억제되고 쾌감을 느끼게 되나 자주 복용하면 무감각, 무기력에 지배돼 결국 폐인이 돼가는 무서운 작물이다.
양귀비는 개양귀비와 마약양귀비 분류가 가능한데. 개양귀비는 주로 진한 주황색이나 흰색, 엷은 분홍색 등 색상이 다양한 반면 마약양귀비는 검은 반점이 있는 붉은색이 주류를 이룬다고 한다. 관상용 양귀비도 있는데 이것은 줄기에 규칙적인 털이 있으며, 씨방이 세모꼴로 이루어져 있고, 전체적인 크기가 작다.
단속 대상 양귀비는 잎과 줄기가 매끈하고, 씨방이 작으며 대부분이 원형으로 이뤄져 있고, 1.2~2m 정도 자란다. 꽃봉오리와 줄기 털의 유무를 보면 가장 두드러지는 차이점을 알 수 있는데 개양귀비는 꽃받침이 2장으로 전체에 털이 있으나 마약양귀비는 개양귀비와 마찬가지로 꽃받침이 2장인 것은 동일하나 털이 없고 매끈한 모양새를 띈다. 또한 개양귀비는 줄기 전체에 작은 털이 많이 나 있는 반면 마약양귀비는 대부분 줄기에 털이 없고 매끈한 모양새를 띈다.
어떠한 이유로든 개양귀비가 아닌 마약양귀비를 재배할 시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제3조 제2호를 위반하게 돼 동법 제61조 제1항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다. 또한 양귀비의 밀경작뿐만 아니라 밀매 및 사용행위까지 예외 없이 모두 엄중하고 단호하게 처벌 대상이 된다.
양귀비 불법 재배가 근절되지 않은 이유는 무엇보다 법을 어기고 있는 것에 대한 낮은 인식 때문이다. 개양귀비와 마약양귀비에 대한 구분법을 잘 숙지하고, 마약양귀비와 개양귀비를 혼동해 처벌받는 황당한 사례가 없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