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광주본부 "노동자 안전권 보장해야"
양홍민 기자 yhb9792@gwangnam.co.kr |
2025년 04월 28일(월) 18:58 |
![]() |
민주노총은 이날 선언문을 통해 “‘죽은 자를 추모하고 산자를 위해 투쟁한다’는 4·28 정신을 계승해 나가겠다”며 윤석열 정부의 생명·안전 후퇴 정책을 비판하고 향후 투쟁을 예고했다.
민주노총 광주본부는 “한국은 여전히 매년 2400명이 산업재해로 사망하고, 15만명이 부상과 질병으로 고통받는 산재공화국이다”며 “산재 사망률 세계 최악 수준이라는 부끄러운 현실이 개선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산재 승인은 하늘의 별 따기고, 산재 처리 기간은 200~300일을 넘기기 일쑤다”며 “치료도 재활도, 사업장 복귀도 노동자에겐 절망과 고통의 연속이다”고 강조했다.
윤석열 정부를 향한 비판도 이어졌다.
민주노총은 “윤석열 정권은 중대재해처벌법을 무력화하고, 산재 노동자들을 모욕하는 생명안전 후퇴를 추진했다”며 “23명의 노동자가 숨진 아리셀 참사 책임자 박순관이 거리에서 활보하는 현실은 아직 끝나지 않은 내란을 방불케 한다”고 질타했다.
민주노총은 노동자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모든 노동자에 대한 안전하고 건강할 권리를 차별 없이 적용하고, 위험작업 중지권과 노동자 참여 보장, 중대재해처벌법 엄정 집행·전면 적용, 2인1조 인력 기준 법제화, 산재 노동자의 치료·보상 권리 전면 적용 등을 요구했다.
이들은 “80년 5월 광주에서 시작된 민주주의 투쟁 정신을 계승해, 일터의 민주주의를 확립하고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투쟁을 계속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양홍민 기자 yhb9792@gwangnam.co.kr
양홍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