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광주 상무지구 ‘도심융합특구’ 속도 내길
김상훈 기자 goart001@gwangnam.co.kr |
2025년 04월 30일(수) 17:46 |
![]() |
국회가 최근 이 사업을 구체화하기 위해 법률 개정 등을 하고 있고 정부도 종합발전계획 수립에 나서는 등 가시적인 움직임이 전개되고 있기 때문이다.
도심융합특구는 지방 대도시 도심에 산업·주거·문화 등 복합혁신공간을 조성, 범 정부차원의 기업지원 사업을 집중시켜 기업투자와 청년 일자리 창출을 견인하는 광역 성장거점 사업을 말한다.
즉, 경기 성남시 ‘판교 제2테크노밸리’와 같은 공간을 지방 대도시 도심에 조성, 지역 균형발전을 도모하고 인재 유출을 막는 등 지역 경쟁력 회복을 위한 국가 대형 프로젝트인 것이다.
국가균형발전위원회는 지난 2020년 12월 도심융합특구 선도사업지로 광주 상무지구 일대(85만㎡)를 선정했다.부산, 대구, 대전, 울산 등 지방 대도시 4곳도 포함됐다.
이들 도시에는 총 사업비 1조5,790억원을 투입, 스마트 첨단 특화, 의료·디지털 융합, 연구개발(R&D) 혁신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하지만 관련 특별법 입법 지연과 예산 지원 부족, 정부의 무관심 속에 사업은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했다. 실제로 지난 2021년부터 지원된 정부 예산은 1곳당 13억원 규모에 그쳐 별 다른 절차를 밟지 못했다.
표류하던 이 사업은 최근 민주당 조인철 의원(광주 서구갑)이 이 곳 입주 기업들의 세금 감면을 담은 관련 개정안을 대표발의하는 등 국회가 지원 근거가 담긴 법률 개정을 잇따라 추진하면서 다시 기지개를 켜고 있다.
또 5대 광역시 지역구 의원과 국토부, 과기부, 중기부 등 정부 부처 차관, 대학 교수, 법률 전문가 등이 참여한 국회 도심융합특구발전포럼도 최근 출범식을 갖고 본격 활동에 들어갔다.
여기에 국토교통부도 도심융합특구 종합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 착수 보고회를 갖는 등 적극 가세하고있다. 광주시는 내년까지 사업 시행자 지정과 실시계획 수립, 토지 보상 등을 순차적으로 추진해 오는 2031년 사업을 마무리 할 계획이라고 한다. 이 사업이 예정대로 추진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적극적인 지원이 절실하다.
김상훈 기자 goart001@gwangnam.co.kr
김상훈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