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턱 낮추고 과학과 시민 가교 역할 충실할 것"

국립광주과학관, 2년 연속 광주 인기 관광지 1위 ‘쾌거’
2024년 관람객 94만 돌파…이정구 관장 경영철학 주효

김다경 기자 alsqlsdl94@gwangnam.co.kr
2025년 07월 02일(수) 17:57
이정구 국립광주과학관 관장. 국립광주과학관 제공.
국립광주과학관(관장 이정구)이 2024년 광주시 인기 관광지 1위 기관으로 선정되며 2년 연속 1위 기관 달성의 쾌거를 이뤘다.

2일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관광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국립광주과학관은 2024년 한 해 동안 94만 2722명의 관람객이 방문하며 광주에서 가장 많은 관람객이 방문한 곳으로 나타났다.

2023년에도 83만 6249명의 관람객이 방문하며 광주시 인기 관광지 1위에 선정된 국립광주과학관은 1년 동안 13%의 관람객 증가세를 보이며 인기몰이에 속도를 더했다. 2024년 전국 5개 국립과학관 중에서도 가장 많은 관람객이 방문하며 명실상부 지역과 국내를 대표하는 과학관으로 자리매김했다.

역대급 관람객을 유치하며 새로운 역사를 써 내려가는 국립광주과학관의 급속 성장의 배경에는 2023년 취임한 국립광주과학관 5대 이정구 관장의 경영철학이 주효했다는 평이 나온다. 국립과천과학관에서 20년 이상 재직하며 국립어린이과학관장을 역임한 과학관 전문가인 이정구 관장은 취임 직후부터 ‘이에스지(ESG) 경영’을 최우선 가치로 내세우며 기관의 공공성 강화를 위해 시민들에게 한발 먼저 다가서고, 호남권 거점 과학관 역할 증대를 위해 중·소규모 과학관을 지원하는 등 상생을 위한 행보를 이어오고 있다.

공룡특별전 ‘2024 Dino World’에 입장하기 위해 기다리는 관람객들 모습
특히 과학관에 대한 시민들의 기대를 정확히 파악해 선보이는 맞춤형 프로그램들이 급성장 중인 국립광주과학관의 강점으로 꼽힌다.

대표적인 성과로는 고생물학을 전공한 이 관장만의 강점을 바탕으로 기획한 공룡특별전 ‘2024 Dino World’가 63일 동안 일 최대 관람객 3000 명, 전체 5만명이 넘는 전무후무한 흥행을 기록했다. 그간 버튼을 눌러 작동하는 방식의 전시품 중심이었던 상설전시관(생활과학존)을 개선하며 직접 만지고 온몸으로 생생하게 과학을 만끽할 수 있는 체험형 전시품을 대거 개발해 선보이기도 했다.

온 가족이 즐길 수 있는 과학문화행사도 연중 선보이고 있다. ‘광주수학과학축제’(8만 1342명), ‘스페이스오딧세이 봄축제’(2만 7224명), ‘광주과학발명페스티벌’(2만 7053명), ‘아트사이언스페스티벌(1만 396명) 등 대규모 과학축제를 통해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과학이라는 주제를 재미있는 놀이와 생활 속 체험 형태로 구성하며 남녀노소 누구나 과학과 친숙해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국립광주과학관 전경
학령인구 감소와 성인들의 여가활동 증대에 따른 맞춤형 신규 프로그램 운영도 관람객 증가에 한몫했다. 성인 전용 프로그램인 노년층을 위한 ‘성인과학문해교실-손주에게 알려주고 싶은 과학’, 성인들이 관심 있어 하는 주제를 과학적 체험으로 풀어낸 ‘사이언스 나이트 페스티벌 19+’ 등을 새롭게 선보이며 과학관은 아이들만 가는 곳이라는 편견을 깨고 성인들을 위한 ‘핫플레이스’(Hot Place) 역할도 겸하고 있다.

이외에도 공공성 강화를 위해 지역민을 위해 설과 추석 명절을 비롯한 4월 과학의 날, 5월 가정의 날,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 등 주요 계기일을 기념해 무료 개관 행사를 연이어 추진, 과학관의 문턱을 낮추며 대중화에 앞장서고 있다.

이정구 관장은 “그간 우리 과학관은 온 직원이 한마음으로 더 많은 시민들에게 과학의 즐거움을 전하고, 공공기관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자 과학콘텐츠 개발과 운영에 최선을 다해 왔다”면서 “앞으로도 시민들의 관심과 기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과학을 쉽고 재미있게 풀어내며 시민과의 가교 역할에 충실하겠다”고 전했다.
김다경 기자 alsqlsdl94@gwangnam.co.kr         김다경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www.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51446636511318000
프린트 시간 : 2025년 07월 03일 19:4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