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연구원 "생활문화로 지역소멸 위기 돌파해야" 광역 플랫폼 구축·생애맞춤형 프로그램 확대 등 주문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 |
2025년 07월 22일(화) 13:47 |
전남연구원(원장 김영선)은 22일 발간한 JNI 이슈리포트에서 ‘지역문화 진흥을 위한 전남 생활문화정책 방향’을 제시하며, 전남형 생활문화정책의 체계적 추진과 광역 컨트롤타워 구축 필요성을 강조했다. 2014년 지역문화진흥법 제정 이후 10년간의 정책 추진을 평가하고, 문화 주체로서 지역민의 삶을 담아낼 정책 구조의 전환을 제안한 것이다.
리포트에 따르면 생활문화는 관람 중심의 문화 소비를 넘어, 주민이 주도적으로 일상 속에서 문화활동에 참여하는 형태로 확장되고 있다. 기존 장르 구분을 넘어선 문화적 표현과 공동체 활동이 각지에서 이뤄지고 있으며, 이는 문화의 ‘생활화’를 넘어 지역 정체성과 지속가능성의 기반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전남의 경우 현재 순천, 여수, 완도 등 11개 시·군에 생활문화센터 14곳이 조성돼 있으며, 각 센터는 동호회 지원, 생활문화 페스티벌, 문화예술 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문화체육관광부가 발간한 2023~2024년 전국 문화기반시설 총람에 따르면, 이외 지역에서도 커뮤니티센터, 작은도서관, 주민문화공간 등을 활용해 생활문화 활동이 자발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전남연구원은 이러한 지역 간 격차를 해소하고 생활문화 참여 기반을 고도화하기 위해, 전남도 차원의 통합 거점 역할을 할 ‘전남생활문화플랫폼’ 조성을 제안했다. 해당 플랫폼은 광역 컨트롤타워로서 시·군별 생활문화 정책과 사업을 연계·지원하고, 문화지도 구축, 생활문화 현황 조사, 교육·컨설팅, 이슈 공유 및 담론 형성 등 전반적 정책 기반을 뒷받침하게 된다.
또한 전담부서 간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생활문화센터 운영 정보를 통합 제공하고, 특화사업 및 시·군 공동 사업 발굴 등 생활문화 네트워크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를 통해 정책의 환류 구조를 강화하고, 각 지역의 생활문화 역량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이다.
권수빈 전남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생활문화정책은 단순한 문화 활동을 넘어 지역민의 삶의 질과 정주 의지를 높이는 핵심 전략”이라며 “광역 생활문화센터와 온라인 플랫폼을 중심으로 도민의 생활문화 욕구에 정밀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실행 기반이 조속히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
이현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