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국내항일·의병·학생운동 거점 재확인

전국 대비 높은 독립유공자·현충시설 보유…역사적 위상 높아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
2025년 08월 13일(수) 11:21
전남도가 국내 항일·의병·학생운동의 중심 거점이었다는 사실이 광복 80주년을 앞두고 다시 확인됐다.

전남연구원이 13일 발간한 JNI 인포그래픽 ‘그들이 밝혀준 빛, 우리가 밝혀줄 빚’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전남은 독립유공자 수(1521명)와 현충시설 수(124개) 모두 전국 상위권이며, 독립운동 유형에서도 국내항일·의병·학생운동 비중이 평균을 웃돌았다. 단순한 역사 기념을 넘어 미서훈자 발굴, 항일독립유산 지정 등 ‘선양 정책’을 선도하고 있다는 평가다.

국가보훈부 명부 기준 전국 독립유공자는 경북이 2522명으로 최다, 전남은 1521명으로 4위다. 유형별로 전국은 3·1운동이 가장 많지만, 전남은 국내항일운동(1910~1945)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시·군별로는 나주(118명), 무안(108명), 영암(99명) 순으로 집계됐다.

훈격에서도 전남은 건국포장(188명)과 대통령표창(538명) 등 건국훈장 외 훈격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 지역 차원의 발굴·추천 노력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현충시설은 경북 164개, 전남 124개로 전남이 2위다. 도내에서는 보성(15개), 광양(12개), 곡성(9개) 순이며, 절반 이상이 3·1운동(32개)과 의병운동(30개) 관련이다. 거리와 학교, 생활공간을 무대로 한 ‘생활형 독립운동’의 흔적이 비교적 온전히 남아 있다는 분석이다.

전남의 강점은 ‘역사 재조명→제도화→교육·관광 연계’로 이어지는 선순환 체계다.

전남도 보건복지국 보훈선양팀은 광역단위 최초로 독립운동 미서훈자 발굴과 서훈 신청을 직접 추진하고 있고, 전남독립운동사(2025~2027) 편찬을 진행 중이다.

전남도의회는 2024년 전국 최초로 ‘독립운동 미서훈자 발굴 및 지원 조례’를 제정해 제도 기반을 마련했다.

동부지역본부 문화자원과는 광복 80주년에 맞춰 도내 항일독립유산을 문화유산으로 지정하는 작업에 속도를 내며, 보존을 넘어 지역 문화정책의 핵심 축으로 끌어올리고 있다.

전남연구원 김만호 문화관광연구실장은 “전남은 참여 규모 대비 서훈자 수가 상대적으로 적다고 보고, 도가 직접 미서훈자를 찾아 서훈 신청까지 챙기는 정책을 펼쳐왔다”며 “앞으로 시·군과 협력해 지역 맞춤형 선양정책을 더 정교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독립운동사 정리와 항일독립유산 지정이 마무리되면 전남교육청과 연계해 초·중등 교과 학습자료와 역사탐방 프로그램으로 확장, 미래세대가 ‘의향(義鄕)’ 정체성을 체감하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         이현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www.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55051718514714000
프린트 시간 : 2025년 08월 14일 05:1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