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실질적 귀농정책 이뤄져야 이산하 지역사회부 차장
광남일보@gwangnam.co.kr |
2025년 08월 21일(목) 17:50 |
![]() |
퇴직 후 도시의 팍팍한 삶을 벗어나 전원생활과 새로운 소득 창출을 꿈꾸는 이들이 늘면서 귀농·귀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각 지자체는 다양한 지원책을 내세우며 귀농·귀촌을 고민하는 이들이 농촌 정착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하지만 지원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획일적인 경우가 많다.
창업이나 주택 구입 등 현금성 지원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지역에 연고가 있는 귀농·귀촌인이라면 이 같은 지원만으로도 적응에 큰 무리가 없지만, 도시에서만 살아온 이들이 농촌에 정착하기에는 실질적인 뒷받침이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일부 지자체는 ‘한 달 살아보기’ 등 체류형 프로그램을 운영해 영농기술을 배우고 농촌생활을 미리 경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작물 재배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줄이는 최소한의 안전장치일 뿐, 정착 이후의 삶을 책임지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런 이유로 도시로 되돌아가는 ‘역귀농’ 현상도 적지 않게 나타난다. 역귀농을 택한 이들은 농촌생활 부적응을 가장 큰 이유로 꼽는다. 주택·교육·의료·복지·문화 등 정주 여건이 도시보다 열악할 것을 알면서도 귀농을 선택했지만, 실제 생활에서 마주한 불편은 예상보다 컸다는 것이다.
지자체들이 귀농 상담, 지원정책, 체험 프로그램 등을 마련해두고 있지만, 막상 본격적인 ‘농촌 라이프’가 시작되는 정착 이후 단계에서는 실질적인 지원이 부족한 게 현실이다.
인구감소와 지방소멸이 사회적 화두로 떠오른 만큼, 지자체들은 인구 늘리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귀농 역시 중요한 대안 중 하나다. 그러나 귀농을 통한 인구 증가 효과를 기대하려면 보다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귀농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