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인공지능·재생에너지’ 거점 만든다

새 정부 경제성장전략 살펴보니…
AI 집적단지·미래차·해상풍력 등 인프라 경쟁력 우수
시·도, 27일 특별자치단체 선포…사업 추진 토대 마련
초광역협력으로 수도권 집중 완화·균형발전 전환점도

장승기 기자 sky@gwangnam.co.kr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
2025년 08월 24일(일) 18:08
광주 인공지능(AI) 2단계 사업인 ‘AX 실증밸리 조성사업’이 국무회의 의결에 이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총괄위원회 심의를 통과, 예타 면제사업으로 최종 확정됐다.
광주·전남·전북 등 서남권이 인공지능(AI)과 미래 모빌리티, 재생에너지, 농생명·식품을 기반으로 한 신성장 거점으로 새롭게 육성된다.

정부가 수도권 1극 체제를 넘어 ‘5극3특(5대 초광역권·3대 특별자치도)’ 균형성장을 공식화 하면서, 권역별 특화 산업을 집중 육성하겠다는 구체적 청사진을 내놨기 때문이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광주와 전남은 오는 27일 특별지방자치단체 설치 선포식을 열고 초광역 협력의 첫발을 내딛을 예정이어서, 정부 전략과 지역 행보가 맞물리며 지역 성장 발전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24일 광주시와 전남도 등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22일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관계부처 합동 브리핑을 열고 ‘새정부 경제성장전략’을 발표했다.

핵심은 지역발전 패러다임을 기존 수도권 집중형에서 다핵화된 초광역 체제로 전환하는 것이다. 인공지능과 관광을 핵심 성장축으로 삼아 30대 선도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권역별로 맞춤 산업을 집중 육성하겠다는 계획이 담겼다.

권역별 육성전략을 보면 광주·전남·전북이 포함된 서남권은 AI와 모빌리티, 해상풍력 등 재생에너지, 농생명·식품 산업이 전략 산업으로 제시됐다.

이밖에 동남권(부산·울산·경남)은 자동차·조선·우주항공·석유화학·철강, 대경권(대구·경북)은 로봇·이차전지·바이오, 중부권(대전·충청)은 반도체·디스플레이·기초R&D, 강원·제주권은 관광·청정에너지·바이오가 각각 지정됐다.

광주는 이미 AI 집적단지와 친환경차 산업 육성을 통해 인공지능과 미래차 분야에서 경쟁력을 쌓고 있다.

전남은 세계 최대 규모의 신안 8.2GW 해상풍력 단지를 비롯해 재생에너지 산업의 전진기지를 갖추고 있으며, 농생명·식품산업에서도 전국 최대 벨트를 보유하고 있다. 여기에 전북의 농식품 가공·첨단농업 기술이 더해지면서 서남권 전체가 산업적으로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조건을 갖췄다.

정부가 서남권을 AI, 모빌리티, 재생에너지, 농생명 산업의 전략 거점으로 규정한 배경이다.

정부는 중앙정부와 초광역특별자치단체 간 ‘지역발전투자협약’을 체결하고,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내 초광역 단위 사업을 단계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이 같은 정부 전략과 맞물려, 광주와 전남은 오는 27일 나주시청에서 특별지방자치단체(특지단) 설치 선포식을 연다.

양 시·도는 이미 공동 의제 발굴과 세부 협의를 마쳤으며, 합동추진단을 구성해 규약 설계와 정부 협의를 거쳐 연내 공식 출범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지단은 영국의 ‘통합기관(CA)’처럼 지자체가 공동사무를 수행하는 형태로, 광역 교통망 확충과 첨단 바이오·헬스, 에너지 전환이 초기 협력 과제로 꼽힌다.

그동안 광주와 전남은 ‘상생발전위원회’나 ‘빛고을 생활권 협의회’ 등 협의체를 운영했지만 법적 구속력과 재정 뒷받침이 부족해 성과를 내기 어려웠다. 특지단 출범은 두 지역이 공동의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법적·제도적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지역 정가 한 관계자는 “서남권이 AI와 모빌리티, 재생에너지, 농생명 산업을 융합해 신성장 모델을 만들어내고, 광주·전남 특지단이 초광역 협력의 실질적 성과를 입증할 수 있다면, 이번 전략은 수도권 집중 완화와 균형발전의 전환점이 될 수 있다”며 “서남권이 만들어낼 성과가 곧 새정부 균형발전 전략의 시험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새정부 경제성장전략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기업의 지방 이전을 촉진하기 위해 세제·재정 인센티브도 대폭 강화한다. 또 2차 공공기관 이전 로드맵을 조속히 마련해 이전 절차를 신속히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밖에도 지역 소득기반 확충을 위해선 햇빛·바람연금 등 이익공유형 주민참여 모델을 도입하고, 농어촌 기본소득도 단계적으로 확산한다는 방침이다.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규모를 늘리고 정부 지원을 제도화해 안정적인 상품권 발행도 도모할 예정이다.
장승기 기자 sky@gwangnam.co.kr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        장승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www.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56026480515432000
프린트 시간 : 2025년 08월 25일 05:1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