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 10명 6명 ‘데스밸리’ 못 넘고 폐업

[통계청, 호남 소상공인 경제 변화상 분석]
5년 생존율 광주 37.8%·전남 40.0% 그쳐
정책지원 효과 뚜렷…60% vs 미수혜 30%
사업체 수 2.4%·2.7% ↑…광·제조업 강세

송대웅 기자 sdw0918@gwangnam.co.kr
2025년 08월 27일(수) 17:39
광주·전남지역 소상공인 10명 중 6명은 경기침체의 파고 속 이른바 ‘데스밸리 구간(창업 후 3~5년)’을 통과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사업을 받은 업체와 그렇지 못한 업체 간 생존율 격차가 뚜렷해 지역 자영업 생태계의 구조적 취약성을 드러내고 있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기준 호남·제주지역 소상공인 경제 변화상’을 분석한 결과, 지난 2023년 기준 1년 차 소상공인 생존율은 전남이 72.0%, 광주가 68.0%를 기록했다. 하지만 5년 차 생존율은 전남 40.0%, 광주 37.8%로 크게 떨어졌다.

창업 초반에는 비교적 선전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버티지 못하는 기업이 빠르게 늘고 있는 셈이다.

정부 등 지원사업 효과는 확연했다.

광주의 경우 지원사업 수혜 업체의 5년 생존율은 59.1%로, 미수혜 업체(28.1%)보다 31.0%p 높았다. 전남 역시 수혜 업체는 62.5%, 미수혜 업체는 31.6%를 기록해 30.9%p 차이를 보였다.

즉, 자금·마케팅·경영컨설팅 등 공적 지원이 생존 여부를 가르는 결정적 변수가 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데스밸리로 불리는 창업 3~5년 차 구간에서 지원 여부가 명암을 갈랐다. 광주에서는 지원사업 수혜 업체의 3년 차 생존율이 62.7%에 달했으나, 미수혜 업체는 44.3%에 머물렀다. 전남도 같은 구간에서 수혜 업체는 66.1%를 기록해 미수혜 업체(52.4%)를 크게 앞질렀다.

이 같은 수치는 지역 소상공인이 자력으로는 구조적 위기를 넘기기 어렵다는 사실을 방증한다. 인건비와 임대료 상승, 소비 위축 등 복합 불황 속에서 정책적 지원이 끊기면 폐업 위험은 곧장 현실이 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반대로 맞춤형 지원이 이어질 경우 ‘3년 고비’를 넘겨 장기 생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소상공인 사업체 수는 2023년을 기준으로 광주 19만4000개, 전남 26만3000개로 집계됐다. 전년과 견줘 각 2.4%(18만9000개), 2.7%(25만6000개) 늘었다.

산업별 사업체 구성비는 광주와 전남은 도매 및 소매업이 각 23.4%, 21.6%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소상공인 종사자 수는 광주 7만2000명, 전남 8만8400명으로 1년 전과 견줘 광주는 1.5%(7만3000명) 줄고, 전남은 0.1%(8만8300명) 늘었다. 매출액 부문에서는 광주는 32조1460억원으로 전년(31조9900억원) 보다 0.5% 늘었고, 전남 역시 42조5620억원에서 2.4% 증가한 43조5870억원을 기록했다.

산업별 사업체당 매출액은 광주는 광·제조업이 3조72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전남도 광·제조업이 강세를 보였는데 3조8900만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액 규모 구간별 분포에서는 2000만원 미만이 광주 29.5%, 전남 30.0%로 가장 높았다.

세부적으로 광주는 2000~5000만원 미만 21.4%, 2억~10억원 미만 16.2% 등이었고, 전남은 2000~5000만원 미만 22.2%, 2억~10억원 미만 15.6%였다. 10억원 이상은 양 지역 모두 2.9%를 기록했다.
송대웅 기자 sdw0918@gwangnam.co.kr        송대웅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www.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56283995515712015
프린트 시간 : 2025년 08월 28일 03:5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