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산구 지속가능 일자리, 대한민국 일자리로 ‘비상’ 풀뿌리 사회적 대화,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 반영
임정호 기자 ljh4415@gwangnam.co.kr |
2025년 09월 17일(수) 09:59 |
![]() |
![]() |
녹서 |
광주 광산구가 지역 중심의 지속 가능한 일자리 조성을 위해 추진한 시민참여형 ‘풀뿌리 사회적 대화’가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로 반영됐다.
16일 광산구에 따르면 일자리 분야 국정과제(통합과 성장의 혁신적 일자리 정책)의 실천 과제로 광산구의 ‘풀뿌리 사회적대화’가 이날 국무회의를 통과, 전국화 궤도에 오르게 됐다.
광산구는 일자리 국정과제에 ‘지역 중심 일자리’가 강조된 의미를 주목하며, 시민참여형 사회적 대화 확산이 지역 주도로 정부 일자리정책을 전환하는 신호탄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풀뿌리 사회적대화는 ‘지역고용 활성화를 위한 지역 사회적 대화와 거버넌스 확산’을 목표로 추진되는 모델이다.
광산구는 그동안 중앙정부와 대기업 중심의 일자리 정책이 양극화와 지역 불균형, 지역 소멸을 심화시키는 주요 요인이라고 봤다. 무분별한 증가가 아닌, 지역 중심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지난 3년간 ‘지속가능 일자리특구 조성’ 정책을 추진했다.
특히 주거·복지·건강·교통·돌봄·육아 지원 등 사회임금을 확대 지원해 기존의 중소기업 일자리도 대기업 일자리 못지않은 ‘좋은 일자리’로 만들어보자는 청사진을 세웠다.
이를 위해 마련된 ‘풀뿌리 사회적 대화’는 중앙정부에 의존하지 않고 지역 스스로 지역 실정에 맞는 지속가능한 일자리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숙의 토론 과정이다.
비정규직과 중소기업의 노동자, 자영업자, 청년, 장년, 여성 등 각계각층의 주민을 만나 일자리와 관련한 질문을 듣고 이에 대한 해답을 제시, 실행계획을 수립하는 절차다.
더욱이 일회적·소모적 토론으로 끝나지 않도록 녹서(질문)-백서(해답)-청서(실행계획) 등 3단계 체계적인 숙의 토론을 추진했다.
이에 지난 3월 일자리에 대한 시민들의 질문을 담은 ‘녹서’를 발간했으며, 이후 질문에 대한 해법을 담은 ‘백서’ 제작을 위한 2단계 사회적 대화를 진행 중이다. 이를 토대로 실행계획이 담긴 ‘청서’를 제작, 내년 1월부터 지속가능 일자리 시범 사업 추진에 나서고 있다.
박병규 광산구청장은 “정부의 공약과 국정과제 반영은 3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공직자, 시민, 뜻을 함께한 전문가들이 현장에서 부딪히고, 토론하고, 설득하며 만들어낸 결실”이라며 “광산구 지속가능 일자리 정책이 전국으로 뻗어 나가 대한민국의 더 나은 내일을 실현하는 일자리로 성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임정호 기자 ljh4415@gwangnam.co.kr
임정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