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특위 첫 회의…정청래 "성과 내기 위해 저부터 뛰겠다"

"국가가 호남발전 옥동자 낳고 길러야"
서삼석 위원장 "호남 대변혁 첫 걸음"
18일 내년국비반영 긴급회의 열기로

이성오 기자 solee235@gwangnam.co.kr.
2025년 09월 17일(수) 10:05
16일 전북 전주 더불어민주당 전북도당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호남발전특별위원회 제1차 전체 회의에서 정청래 당 대표가 축사하고 있다.(연합)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16일 “호남발전특별위원회는 실제로 성과를 내서 열매와 결실을 내는 특위가 될 수 있도록 저부터 정말 열심히 뛰겠다”고 밝혔다.

정 대표는 이날 전북도청에서 열린 호남발전특위 첫 회의에서 “호남발전특위는 그냥 만들어진 성과 없이 끝나고 흩어지는 그런 특위가 아니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또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발전에 호남이 기여한 바가 크다고 다들 말하는데 국가는 호남 발전을 위해 무엇을 했느냐는 질문에 대한 답을 해야 할 때”라며 “국가가 호남 발전이라는 옥동자를 낳고 길러야 할 때”라고 말했다.

정 대표는 “호남은 민주당의 뿌리이고 줄기이다. ‘호남이 없으면 국가가 없었다’라는 말처럼 호남이 없으면 민주당도 없다고 생각한다”고 호남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

이어 “호남에서 여러 가지 발전 방향을 말씀하시는데 호남의 국립의대 문제라던가 이재명 정부가 지금 가열하게 추진하고 있는 에너지 고속도로, 재생에너지 산업기반 육성 등 호남에 맞는 적절한 호남 발전의 요소들을 채워 넣는 것이 호남발전특위의 일이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정 대표는 “호남발전특위에서 나오는 안들이 100% 다 만족하게 제안하는 대로 다 될 수는 없겠지만 ‘호남발전특위를 통해서 호남이 역사적인 계기를 마련했다’라는 평가를 들을 수 있도록 저도 호남발전특위 위원이라고 생각하고 열심히 하겠다”고 거듭 강조했다.

호남발전특위 위원장인 서삼석 의원(민주당 최고위원)은 환영사를 통해 “500만 호남인들의 염원, 숙원까지도 이 장에서 논의돼야 한다”며 “호남인들에게는 희망을 주고 이재명 새 정부를 통해 강력한 실천력을 바탕으로 호남의 대변혁을 시작하는 첫걸음을 떼는 순간”이라고 호남발전특위 첫 회의의 의미를 부여했다.

서 의원은 또 “저를 비롯한 함께 하고 계시는 57분의 특위 위원들께서는 훌륭한 작품의 액자까지 만드는 수준이 아니더라도 스케치를 잘 해서 대통령께서 액자를 만드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명선 최고위원은 “호남이 역차별당했다는 말씀을 듣지 않도록 하겠다”며 “서 위원장과 위원님들이 뜻을 모아 발전 전략을 잘 세워주시고 당 지도부는 특위에서 제안한 내용을 성과로 만들어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언급했다.

지난 달 21일 발족한 호남발전특위는 호남 지역 현안을 다루고 발전 과제를 제시하는 역할을 맡는다.

위원장인 서 의원과 지역별 상임수석부위원장(광주:이병훈 전 의원, 전북:이원택 의원, 전남:김성 장흥군수)과 수석대변인에 주철현 의원을 비롯해 지역별로 현직 국회의원과 학계·전문가, 시민사회단체 관계자 20여 명 씩 총 60여 명으로 구성됐다.

특위의 역할은 광주 인공지능(AI)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전남·북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국가산업단지 조성, 국립의대 설립 등을 비롯한 △국민주권정부 123대 국정과제 중 광주·전남·전북 관련 과제의 실행방안 제시 △이 대통령과 정 대표의 호남 관련 공약 이행을 위한 정책 구체화 △‘5극3특’ 국가공간정책에 대응하는 초광역 협력과제 발굴 등이다.

이를 위해 6개 분과(△문화·관광·체육분과 :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육성, 문화관광 진흥 △신산업·경제·금융 : AI(인공지능), 미래모빌리티, 반도체, 지역상권 활성화 △기후·에너지·재난안전 : RE100 정책, 안전한 도시 조성 △메디컬·바이오·헬스케어 : 첨단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 △도시·교통·인프라 : 스마트시티 조성, 광역교통망 확충 △초광역협력 : ‘5극3특’ 대응 및 3개 시·도 간 연계협력 강화)가 특위 산하에 설치됐다.

호남 특위는 현장 방문과 분과별 회의를 수시로 열어 호남발전 과제를 집약하고 간추릴 예정이다.

오는 11월 중에 시·도별 정책 설명회를 연 뒤, 11월 말 최종 정책안을 당 대표에게 보고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성오 기자 solee235@gwangnam.co.kr.         이성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www.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58071115517318000
프린트 시간 : 2025년 09월 17일 16:1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