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강진군 승부수 ‘반값여행’ 국가정책됐다
김상훈 기자 goart001@gwangnam.co.kr |
2025년 09월 30일(화) 18:34 |
![]() |
사실 ‘반값여행’은 인구 3만2000여명의 작은 군이 살아남기 위한 ‘고육지책’이었다.
인구 감소와 경기 침체에 빠져 있던 강진군은 지난해 1월 ‘누구나 반값여행’을 전국 최초로 도입했다.
강진에 여행온 2인 이상 가족·팀의 경비 절반을 식당·숙박·카페·전통시장 등 1600여 가맹점에서 이용할 수 있는 모바일 지역화폐로 돌려주는 것을 말한다.
개인은 최대 10만원, 팀 단위는 20만원까지 환급받을 수 있게 했다.
내부 소비만으로는 경제를 지탱하기 어려웠던 강진군의 관광을 매개로 한 승부수였던 것이다.
무모한(?)도전은 통했다. 지난해 관광객은 282만명으로 전년보다 43만명 늘었고 같은 기간 방문 인구도 709만명으로 전년 635만명에서 크게 증가했다,
참여자 1만5291팀이 쓴 돈은 66억원이나 됐다.
2023년 1억원에 불과했던 특산물 온라인몰인 ‘초록믿음강진’의 연 매출도 28억원으로까지 뛰어 올랐다.
한국은행이 관련 산업연관표 분석에서 지난해 반값여행에 22억원을 투입해 240억원의 생산유발 효과를 거뒀다고 할 정도다.
올해까지 이어져 지난 8월 현재 4만8463팀이 강진에서 쓴 돈만 해도 136억원이 넘게 썼다고 한다.
기존 정주 인구에 관광·통근·통학인구 등을 합친 생활인구도 크게 증가하는 등 인구소멸 대응효과 또한 컸다.
특히 지역상품권으로 지급된 반환액이 숙박·음식업과 농·수·축산물 판매 등으로 이어져 지역 상인들의 만족도도 높다.
또 전국 자치단체들이 공유하는 정책 브랜드화 됐다. 장성·완도·영암, 경남 하동·산청, 충남 홍성, 대전이 이를 시행했고, 충북 충주·전북 전주·경북 상주도 벤치마킹을 하고 있다.
강진군민과 공직자들의 절박한 심정에서 시작한 ‘반값여행’이 지역경제는 타 지자체 경제까지 살리고 있는 것이다.
김상훈 기자 goart001@gwangnam.co.kr
김상훈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