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정훈 “농식품부 전남 이전이 지방소멸과 농업위기 해법”

추석민심 전하는 페이스북에 밝혀
"신중하고 적극적인 정부 검토 요청”

이성오 기자 solee235@gwangnam.co.kr
2025년 10월 09일(목) 00:39
추석 민심을 경청하는 더불어민주당 신정훈 의원. [신정훈 의원실 제공]
더불어민주당 신정훈 의원(국회 행정안전위원장, 나주·화순)은 8일 정부에 농림축산식품부의 전남 이전을 신중히 검토해 달라고 촉구했다.

신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추석 연휴 동안 전남 곳곳을 돌며 들은 민심을 전하며 “도민들이 균형성장을 위해 가장 많이 말씀한 것 중 하나가 바로 농림축산식품부의 전남 이전이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전남은 전국 최대 농업지역이자 소멸지수가 가장 높은 지역으로, 지방소멸과 농업위기는 동전의 양면”이라며 “농업이 사라지면 지방도 사라진다. 농식품부의 전남 이전은 지방소멸과 농업 회생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국가전략”이라고 강조했다.

또 “전남 농민들은 스마트팜을 도입하고 AI(인공지능)농업시대를 준비하고 있으며, 인접한 광주는 AI도시를 지향하고 있다”며 “광주의 AI기술과 전남의 혁신농업이 만나 AI농업의 중심지로 도약해야 하며, 이 일을 농식품부가 전남에 와서 성공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신 의원은 “이미 전남에는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한국농어촌공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식품공무원교육원 등 농식품부 산하기관이 모두 모여 있다”며 “선원은 같은 배를 타고 있는데 선장만 다른 배를 타고 있는 셈”이라고 비유했다.

아울러 “해양수산부가 부산항과 남해안이라는 정책 현장에 맞춰 이전한 것처럼, 농식품부 역시 농정의 중심지인 전남으로 이전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주장했다.

신 의원은 “농식품부 전남 이전은 국가균형발전의 동력이자, 농업의 국가전략산업화를 촉진할 계기가 될 것”이라며 “스마트농업, K-푸드, AI농업 등 첨단농업 발전의 전기가 되고, 새 정부가 추진한 양곡관리법, 농수산물가격안정법, 한우법, 농어촌기본소득 시범사업의 실효성을 높이는 농업 르네상스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정부부처의 이전이 쉽지 않은 결정이라는 점을 이해하지만, 기후위기와 식량위기, 지방소멸이라는 국가적 과제 앞에서 농식품부 전남 이전은 반드시 논의돼야 한다”며 “5극 3특 전략 중 동남권이 해수부 이전과 가덕도공항으로 날개를 단 만큼, 호남권에도 농식품부 이전이라는 균형발전의 날개를 달아줄 것을 전남도민과 함께 요청한다”고 재차 밝혔다.
이성오 기자 solee235@gwangnam.co.kr         이성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www.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59937983518764000
프린트 시간 : 2025년 10월 11일 07:4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