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의회, 혈세로 용역 발주하고도 ‘쉬쉬’ 무등산 케이블카 "사업 추진 타당성 확보" 결과 도출
장승기 기자 sky@gwangnam.co.kr |
2025년 10월 13일(월) 16:59 |
![]() |
시의회는 연구 용역을 진행해 경제성이 확보된다는 결과를 도출했지만, 후속 논의는 진척을 보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13일 광주시의회에 따르면 의회는 지난해 말 의원 정책 연구비를 투입해 민간용역회사에 ‘무등산 케이블카 조성 기본계획 수립 및 타당성 조사 연구’ 용역을 의뢰했다.
용역 결과, 무등산 테이블카 조성은 1안 증심사 입구 인근-무등산 장불재(4.8㎞), 2안 지산유원지-무등산 장불재(6㎞) 등으로 압축됐다.
1안은 무등산 관광 인프라인 증심사와 연계가 가능하고 접근성이 용의하고 환경훼손이 최소화할 가능성이 있지만, 문화재 및 자연경관 훼손 등이 우려됐다.
2안은 더 긴 구간을 조성해 풍경 감상이 가능하고 지산유원지 활성화 가능성이 장점으로 꼽혔지만, 구간이 늘어난 만큼 환경훼손 우려를 키우고 설치 비용이 늘어난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됐다.
타당성 분석 결과에서는 케이블카를 설치할 경우 연간 약 52만명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돼 입장 수익을 94억원 가량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됐다.
조성사업비(1안 720억원, 2안 900억원) 등을 토대로 30년 운영 기간을 기준으로 분석한 경제성 결과는 편익·비용 비율(B/C)이 1안 1.43, 2안 1.16으로 모두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용역은 지난해 말 진행돼 올해 초에 최종 보고서가 나왔으나, 광주시의회는 케이블카 설치에 대한 환경단체 등의 반발에 후속 논의를 이어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 마을만들기를 주로 하는 민간용역회사에 케이블카 설치 타당성과 기본계획 수립을 맡긴 데다 노선 선정 배경과 기준도 모호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시의회 관계자는 “무등산 케이블카를 두고 찬반 논란이 맞서고 있어서 정책 판단의 근거 중 하나로 삼기 위해 용역을 진행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용역 결과가 사업 추진 타당성이 높게 나왔으나 환경 단체 등 반발 여론에 후속 논의를 이어가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장승기 기자 sky@gwangnam.co.kr
장승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