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광주 민·군공항 이전사업’ 입장 밝힌다

내달 5일 운영위 국감 전진숙 의원 질의
김산 입장 선회 ‘6자 TF’ 협의내용 공개도

이성오 기자 solee235@gwangnam.co.kr
2025년 10월 19일(일) 13:48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25일 광주광역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열린 ‘광주시민·전남도민 타운홀미팅’에서 인사하고 있다.(연합)
답보상태인 광주 민·군공항 무안 이전 사업에 대한 6자 협의체(TF)를 이끌어 온 대통령실이 다음 달 초 공식 입장을 내놓을 것으로 알려져 눈길이 쏠린다.

그동안 6자 TF에 미온적이었던 김산 무안군수가 지난주 TF에 조건없이 참여하겠다고 밝혀, 광주 민·군 공항 이전사업에 긍정적인 변화가 기대된다.

더불어민주당 전진숙 의원(광주 북구을)은 19일 광남일보와의 통화에서 “다음 달 5일 열리는 국회 운영위원회 국정감사에 앞서 대통령비서실 조영범 정책실장에게 광주민군공항 무안이전사업에 대한 6자 TF 운영 내용과 결과에 대해 질의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당 원내부대표로 운영위 위원인 전 의원은 “광주전남 지역민들의 관심이 큰 사안이어서 묻지 않을 수 없다”며 “이번 주에 대통령실에 우선 서면 질의서를 제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전 의원은 “내달 5일 국감 현장에서도 질의해 조 실장으로부터 대통령실이 TF가 수행해온 과제에 대해 입장을 들을 것”이라며 덧붙였다.

이번 대통령실의 답변에는 이재명 대통령의 지난 6월 광주 타운홀 미팅에서 TF 발족을 지시한 이래 대통령실이 처음으로 밝히는 공식 입장이자 이전사업에 대한 견해가 담길 것으로 기대된다.

앞서 강기정 광주시장은 지난달 16일 시청에서 기자간담회를 통해 “광주 군 공항 이전을 논의하는 TF가 구성된 지 두 달이 지났다”며 “이제는 최소한 중간 결론이 나와야 한다”고 촉구한 바 있다.

최근 여의도 정가에서는 대통령실이 6자 TF를 열어 광주 군 공항 이전사업을 추진해 왔지만, 무안군의 적극적이지 않은 태도와 사업비 과다 등으로 난관에 부딛쳤다는 얘기가 나돌고 있다.

또 수조 원의 국고가 투입되는 이전 사업이 마무리 되는데까지 10년 이상이 걸리는 데다, 이후 광주시가 이전 부지에 사업을 벌여 이전비용을 갚는 데도 수년이 걸려 5년 임기의 대통령으로서는 부담이 크다는 얘기까지 나온다.

이와 관련해 김산 무안군수는 지난 16일 “광주 민군공항 이전 6자 TF에 조건 없이 참석하겠다”고 지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밝혔다.

앞서 김 군수는 6자 TF가 발족된 이후 돌연 ‘광주 군 공항 이전지에 대해 지자체들을 대상으로 공모하자’고 제안하는 등 6자 TF 참여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여 이전 사업을 기대하는 지역민들의 원성을 사왔다.

김 군수는 또 지난달 29일 입장문을 내고 광주 군공항 이전과 관련한 3대 조건(광주 민간공항 우선 이전, 광주시의 1조원 규모의 공개 지원 약속에 대한 이행 방안 제시, 국가의 획기적인 인센티브 우선 제시)을 공개했는데, 이는 김 군수가 TF에 참여할 전제조건이자 명분으로 여겨졌다.

따라서 김 군수가 조건 없는 6자 TF 참여로 입장을 선회한 것이, 답보 상태에 놓인 군공항 이전사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6자TF는 ‘광주 민간·군공항 이전 문제를 국가가 주도하겠다’는 이재명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지난 6월 구성됐으며, 광주시·전남도·무안군·국방부·국토교통부·기획재정부 등 6개 기관이 참여한다. 다만, 각 참여기관의 이해관계가 엇갈리면서 아직 첫 회의는 열리지 않고 있다.
이성오 기자 solee235@gwangnam.co.kr         이성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www.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60849310519574000
프린트 시간 : 2025년 10월 20일 01:4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