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전이암 치료 힘든 이유는 ‘암연관섬유모세포’

문경섭·이경화 화순전남대병원 교수 연구 성과

이산하 기자 goback@gwangnam.co.kr
2025년 10월 20일(월) 14:14
(왼쪽부터)문경섭·이경화 교수, S. M. Abdus Salam 연구원
뇌전이암 치료의 새 단서가 될 화순전남대병원 연구팀의 논문 모식도.
뇌전이암 치료 힘든 이유는 ‘암연관섬유모세포’

문경섭·이경화 화순전남대병원 교수 연구 성과



뇌로 전이된 암이 항암제와 방사선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이유가 화순전남대학교병원 연구팀에 의해 밝혀졌다.

20일 화순전남대병원에 따르면 문경섭 신경외과 교수와 이경화 병리과 교수 연구팀이 최근 뇌전이 폐암 조직에서 발견되는 ‘암연관섬유모세포(CAF)’가 치료 저항성의 핵심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Experimental Hematology & Oncology(실험혈액학&종양학·IF13.5)’ 2025년 9월호에 게재됐으며 제1저자인 S. M. Abdus Salam 연구원이 수행했다.

그동안 뇌전이 환자에게 표준치료를 시행해도 효과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았지만 치료가 듣지 않는지에 대한 정확한 규명은 없었다.

이번 연구는 암세포뿐 아니라 그 주변을 둘러싼 미세환경이 치료 결과를 좌우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연구에 따르면 암세포가 사이토카인 IL26(인터루킨-26)과 CX3CL1신호 단백질을 분비해 항암제와 방사선에 맞서 버티도록 만드는 것으로 확인됐다.

실험 결과 IL26은 JAK-STAT3 경로를, CX3CL1은 AKT-mTOR 경로를 활성화 시켜 암세포의 침투력과 생존력을 높였으며, 이에 따라 상피간엽이행(EMT)과 암줄기세포 특성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두 신호를 차단하자 종양의 성장 속도가 현저히 감소했으며, 특히 IL26 억제 실험에서는 동물모델에서도 치료 효과가 뚜렷하게 향상됐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뇌전이암에서 암세포 자체가 아니라 그 주변에서 암을 돕는 ‘조력 세포’가 치료 실패의 원인임을 밝혀낸 것이다”며 “IL26·CX3CL1 신호를 제어하면 뇌전이 폐암 환자의 치료 반응성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이다”고 강조했다.

한편, 논문은 생명과학 분야의 우수한 연구성과를 소개하는 포스텍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의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한빛사)’에도 선정돼 국내 연구 역량을 세계에 알렸다.
이산하 기자 goback@gwangnam.co.kr         이산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www.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60937251519711000
프린트 시간 : 2025년 10월 20일 23:5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