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킨케어·심리상담·보행안전까지 ‘AI 실증’ 활발

광주시, ‘AI 실증도시’ 구축 박차…공공공간 3300여개 개방
시민 체험 데이터 기반 제품 고도화…기업 경쟁력 강화 기대

이승홍 기자 photo25@gwangnam.co.kr
2025년 10월 21일(화) 06:49
광주시청 1층 ‘AI 실증 체험존’에서 한 시민이 AI 기술을 직접 체험하고 있다.
광주시청 1층 ‘AI 실증 체험존’에서 한 시민이 AI 기술을 직접 체험하고 있다.
광주시가 ‘AI 중심도시’를 넘어 시민 일상 곳곳에서 인공지능(AI)을 체감할 수 있는 ‘AI 실증도시’로 빠르게 변모하고 있다. 피부 상태를 진단해 맞춤형 화장품을 추천하고, AI 상담실이 마음의 고민을 들어주며, 보행자의 안전을 지켜주는 기술까지 광주 전역이 새로운 기술의 시험무대가 되고 있다.

20일 광주시에 따르면 시민 생활과 밀접한 다양한 분야에 AI 기술을 적용해 삶의 만족도를 높이고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생활 속 AI 실증사업’을 활발히 추진 중이다. 올해 ‘창업기업 제품 실증지원사업’에 45개사, ‘AI 실증’ 부문에 4개사를 각각 선정하고, 22개 기업과 연계해 다양한 실증장소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시는 도시 전역을 혁신 기술의 시험공간으로 삼기 위해 공공청사와 공원 등 3300여개의 실증자원을 확보했다. 이를 통해 창업기업과 기술 보유기업이 실제 생활환경에서 제품과 서비스를 자유롭게 시험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시는 특히 AI 기반 도시문제 해결과 창업기업 실증지원에 연간 35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하며 ‘AI 실증도시 광주’ 브랜드를 공고히 다지고 있다.

대표적인 실증 사례로는 인공지능(AI) 맞춤형 스킨케어, 거대언어모델(LLM) 기반 심리상담, AI 감지센서를 활용한 어린이 보행안전 시스템, 자전거도로 AI 안전관리 시스템 등이 꼽힌다. 광주시청 1층 열린공간은 시민들이 이러한 AI 기술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AI 실증 체험존’으로 탈바꿈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창업진흥센터 입주기업인 닥터케이헬스케어㈜는 이곳에서 ‘AI 맞춤형 스킨케어 솔루션 기기’를 실증 중이다. 특수 렌즈로 개인 피부 상태를 정밀 분석한 뒤, AI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리 솔루션과 화장품을 제안하는 방식이다. 시민 누구나 자유롭게 자신의 피부를 측정하고 맞춤형 화장품을 추천받을 수 있으며, 지역 화장품 기업들은 축적된 피부데이터를 활용해 소비자 맞춤형 제품 개발과 사업화 가능성을 넓히고 있다.

㈜헬프티쳐의 ‘무인 AI 상담실’도 눈길을 끈다. 국내 최초로 거대언어모델(LLM)과 다중양식(멀티모달) 감정분석 기술을 결합한 이 상담실은 음성·표정·텍스트를 동시에 인식해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실시간 분석하고, GPT 계열 모델이 공감형 대화를 제공한다. 이 상담실은 시청뿐 아니라 광주과학관, 유스퀘어 등 주요 거점 공간에도 확대 설치될 예정이며, 시민 정신건강 돌봄 서비스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시는 또한 ‘대·자·보(대중교통·자전거·보행 중심) 도시’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AI 기반 교통안전 실증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동구 금남로 창업캠프에 입주한 에이치인텔리젼스㈜는 ‘사각지대 스마트 아이(운전자·보행자 안전시스템)’를 개발해 북구 서림초등학교 어린이보호구역에서 실증 중이다. AI 감지센서와 대형 LED패널을 활용해 교통 위험을 실시간으로 감지·경고함으로써 어린이 등하굣길 안전을 지키고 있다.

또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협력해 광산구 쌍암공원 인근 자전거도로에는 ‘AI 안전관리시스템’을 설치한다.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의 이동 패턴을 예측해 도로 바닥 LED 조명으로 긴급 상황을 즉시 알리는 실증이 이뤄질 예정이다.

손두영 광주시 미래산업총괄관은 “광주가 추진해 온 여러 인공지능 사업이 시민의 일상 속으로 스며들고 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실증사업을 통해 기업의 기술이 시민 삶 속에서 살아 숨 쉬는 환경을 지속적으로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이승홍 기자 photo25@gwangnam.co.kr         이승홍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www.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60996945519750000
프린트 시간 : 2025년 10월 21일 03:05: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