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복학원 정상화, 지역사회 유기적 협력 필요"

광주시의회, ‘재정기여자 모집·해결 방안’ 토론회

장승기 기자 sky@gwangnam.co.kr
2025년 10월 28일(화) 12:41
광주시의회 교육문화위원회는 27일 오후 의회에서 ‘재정 기여자 모집을 통한 홍복학원 정상화 방안 마련’을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광주시의회 교육문화위원회는 27일 오후 의회에서 ‘재정기여자 모집을 통한 홍복학원 정상화 방안 마련’을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홍복학원의 정상화를 위해 교육계, 학부모, 지역사회,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 수렴 및 향후 정상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광주시의회 교육문화위원회와 홍복학원 정상화추진위원회가 공동 주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명진 교육문화위원회 위원장이 좌장을 맡아 진행했으며, 김세빈 홍복학원 산하 학교 교직원 대표, 곽경자 홍복학원 산하 학교 학부모 대표, 오정선 홍복학원 정상화추진위원회 위원장, 이종완 홍복학원 정상화추진위원(변호사), 박고형준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상임활동가, 김진영 광주시교육청 미래교육기획과 사학정책팀장이 토론자로 참여했다.

김세빈 대광여고 교사는 “신뢰와 투명성, 그리고 실질적 실행 의지를 갖춘 재정기여자가 필요하다”며 “단기적인 해결책이 아닌 교직원, 학생, 학부모, 지역사회가 함께 학교의 미래를 설계하는 진정한 협력 구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곽경자 학부모는 “재정기여자 모집 불발로 학생들의 학습 환경 전반이 우려된다”며 “재정기여자의 참여를 가로막는 장애물에 대해 교육청 등에서 강력하고 선도적으로 해결책을 제시하고, 정상화 절차를 조속히 마무리해 줄 것”을 요구했다.

오정선 위원장은 “개인적인 토지 분쟁에 의한 이기심 때문에 학생의 안전이 위협받고 학교 운영의 변경이 어렵다는 것은 교육 이념에 맞지 않다”고 호소했다.

이종완 변호사는 “학교 부지 내 사유지로 인해 어떤 법적 분쟁이 예상되는지와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법리적 의견을 제시하며 “재정기여자 후보자에게 해당 내용을 자세히 알리는 절차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고형준 상임활동가는 “학교부지 내 사유지로 인한 분쟁 가능성이 큰 상황에서 재정기여자 참여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공립화 논의가 필요하다”며 “더 나아가 시민들이 주체가 되는 민립형 사학 법인을 만들어가고 이를 위해서는 시민들의 의지 뿐 아니라 행정이 노력이 있어야 하며 정치권에서 해나가야 될 숙제”라고 말했다.

김진영 사학정책팀장은 “홍복학원의 정상화는 임시이사회, 교육청, 교육부, 지역사회 모두의 유기적인 협력이 필요하다”며 “재정기여자 지원자가 나타나지 않는 상황에 교육청은 문제 해결을 위한 중재와 조정자 역할을 더욱 강화할 것이며 논의된 의견들은 적극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명진 위원장은 “학생들이 학업에 더욱 정진하고, 학부모들은 안심하고 뒷바라지할 수 있도록 이 자리에 함께 한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협력해 가자”며 마무리했다.

한편 공립화나 학교 이전은 현 사립학교법상 임시이사 체제로는 어렵다는 의견이 나왔다.
장승기 기자 sky@gwangnam.co.kr         장승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www.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61622888520598002
프린트 시간 : 2025년 10월 29일 02:3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