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소상공인 살리기’ 이젠 체계적인 지원 필요
김상훈 기자 goart001@gwangnam.co.kr
2025년 11월 05일(수) 18:00
광주지역 소상공인들의 현주소는 ‘암울’ 그 자체다. 사상 유례없는 경기침체로 경영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게 특별한 증명이 필요없는 주지의 사실이어서다. 이는 각종 통계지표에도 여실히 드러나 있다.

호남지방통계청이 지난 8월 발표한 ‘호남·제주지역 소상공인 경제변화상 통계’를 보면 2023년 기준 광주 소상공인의 5년 생존율은 37.8%다. 1년 차 생존율은 68.0%로 비교적 높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생존율이 급격히 떨어져 창업 5년 후 10곳 중 6곳이상이 문을 닫았다는 것이다.

경기 침체와 소비 위축, 온라인 플랫폼 확산 등의 영향으로 이들의 폐업률도 11.7%나 됐다.

반면 정부와 지자체가 추진하는 금융, 창업, 경영 등 다양한 분야의 정책 지원을 받은 사업체 생존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점이 눈에 띈다.

이들의 5년 생존율은 59.1%로 전체 평균보다 20% 이상 높고 1년 생존율 또한 85.4%로 일반 소상공인보다 10% 이상 높게 나타난 것이다. 지원하면 뚜렷한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광주시의회가 최근 여론조사기관에 의뢰해 실시한 ‘광주시 소상공인 활성화를 위한 지원시책 효능성 조사’는 이들의 체감경기가 어떤지를 알 수 있는 여론조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조사에 참여한 522명의 소상공인중 82.8%가 “올해 지역경기가 악화했다”고 말했으며 자신의 사업장 상황도 73.6%가 “위축 또는 둔화했다”고 응답했다.

올해 광주지역 최대 화두였던 골목형 상점가에 대해서는 68.6%가 “매출 향상에 도움이 됐다”고 답했고 , 71.6%가 상권 활성화에 기여했다고 긍정적이라고 응답했다. 하지만 이로 인한 실질적인 매출 증가폭은 “10% 이하로 한 자릿수 증가에 그쳤다”는 답이 55.4%로 과반을 넘어서 많은 숙제를 남겼다.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인 대책으로 80.5%가 ‘골목상권 관리 전담 인력 필요’, 75.1%가 ‘현장형 골목상권 지원센터 도입’을 요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기존의 단순 지원을 넘어 지속 가능한 상권 관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각 지역 상권 특색을 반영한 맞춤·체험형 전략 마련과 체계적인 지원이 절실하다는 얘기다.
김상훈 기자 goart001@gwangnam.co.kr         김상훈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www.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62333207521561041
프린트 시간 : 2025년 11월 05일 21:5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