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묘 촬영지서 만나는 조선왕실 기록 미학 亞문화전당, 30일까지 복합전시5관 옆 통로서
정채경 기자 view2018@gwangnam.co.kr |
| 2025년 11월 11일(화) 18:33 |
![]() |
| ‘수군조련도’ |
![]() |
| ‘수원화성능행도’ |
‘궁중 기록화, 맥을 잇다’라는 타이틀로 이뤄질 이번 전시는 오는 30일까지 문화창조원 복합전시5관(B2) 옆 통로에서 열린다.
전시는 ACC가 곳곳이 문화예술로 채워진 열린 예술의 장으로 거듭나기 위해 유휴공간을 활용하면서 마련됐다.
출품작은 광주를 거점으로 활동하고 있는 궁중 기록화가 송연 이맹자 작가의 대표작들로, 지하 2층 내 총 70m 길이의 통로 벽면에 병풍 형태다.
‘수군조련도’(세로 200cm×가로 552cm, 10첩)를 비롯해 ‘수원화성능행도’(세로 205cm×가로 608cm, 8첩), ‘곽분향행락도’(세로 182 cm×가로 310cm, 10첩), ‘요지연도’(세로 183cm×가로 360cm, 8첩), ‘태평성시도’(세로 185cm×가로 472cm, 8첩), ‘평양감사행렬도’(세로 162cm×가로 592cm, 8첩), ‘진찬도’(세로 181cm×가로 368cm, 8첩) 등 궁중 기록화 7점을 만날 수 있다.
작품은 조선시대 궁중의 의례, 군사 훈련, 연회, 행렬 등 다양한 장면을 섬세한 필치와 화려한 색채로 담아내 전통 기록화의 예술성과 역사적 가치를 동시에 보여준다.
![]() |
ACC는 이번 전시를 위해 전시 공간, 전시장 구축, 개막 행사 등을 이맹자 작가와 협력해 지원했으며, 전시 이후 공간 활용 방안을 논의 중이다.
김상욱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장은 “오랜 시간 우리 전통예술의 맥을 지켜온 작가의 노고를 높이 평가한다”면서 “창·제작 기능을 갖춘 ACC와 함께 성장하며 한국 전통예술의 가치를 널리 알릴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정채경 기자 view2018@gwangnam.co.kr
정채경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