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산림연구원, K-뷰티 이끌 ‘병풀’ 신품종 개발

화장품·식품·의약 소재 등 고부가가치 산업 활용 가능
자생지 조사·우량개체 확보…원료 국산화 전환점 기대

박정렬 기자 holbul@gwangnam.co.kr
2025년 11월 15일(토) 13:32
병풀
전남도산림연구원은 화장품·식품·의약소재 등 고부가가치 산업에 활용 가능한 산림바이오 소재 ‘병풀(Centella asiatica)’을 대상으로 신품종 출원과 재배 매뉴얼 개발 연구를 본격 추진한다.

호랑이풀로 잘 알려진 병풀은 고온다습한 기후를 선호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전남 등 남부지역과 제주도에 자생하고 있다.

병풀에는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식산 등 다양한 종류의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는 등 항염증과 피부 재생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보고됐다. 최근에는 상처 치료제로 알려진 병풀이 화장품 분야에서도 활용도가 높아 K-뷰티 산업의 핵심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산업계에서는 원료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일부 농가만이 재배하고 있어 생산량이 턱없이 부족하다. 또 생리활성 지표성분 함량이 높은 품종 개발과 재배 표준화 연구도 미흡하다.

이에 전남산림연구원은 병풀 자생지를 직접 조사해 우량 개체 자원을 확보했으며, 그중 생장량과 기능성 물질 함량이 뛰어난 병풀을 선발해 신품종 출원과 재배 표준화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 연구 중인 선발 개체는 자생지에서 채집한 개체 중 잎 길이와 너비가 약 1.5배 크고, 잎몸을 줄기나 가지에 붙게 하는 꼭지 부분인 엽병의 길이가 3.2배 길어 생산성과 수확 효율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원은 이 가운데 기능성 물질의 함량이 특히 우수한 개체를 최종 선발해 병풀의 기능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오득실 전남산림연구원장은 “산림바이오 소재의 신품종 출원과 재배법 표준화 연구는 임가와 기업이 함께 성장하는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중요한 첫걸음이다”며 “병풀을 비롯한 전남의 우수 산림바이오 소재를 발굴·육성하고, 임가와 기업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연구를 지속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박정렬 기자 holbul@gwangnam.co.kr         박정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www.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63181127522438010
프린트 시간 : 2025년 11월 15일 19: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