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빚 또 역대 최대…대출규제에 증가폭은 축소

3분기 1968조3000억 14조9000억 ↑
주담대 11조 늘어…신용대출 감소세

이산하 기자 goback@gwangnam.co.kr
2025년 11월 18일(화) 18:18
올해 3분기(7∼9월) 주택담보대출 위주로 전체 가계 빚(부채)이 다시 역대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지만 6·27 대책 등에 증가 속도는 뚜렷하게 떨어졌다.

1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968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2분기 말(1953조3000억원)보다 14조9000억원 늘어 2002년 4분기 관련 통계 공표 이래 가장 많았다.

다만 분기 증가 폭은 역대 최대였던 2분기(25조1000억원)보다 약 10조원(40%) 줄었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부업체·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 금액(판매신용)까지 더한 ‘포괄적 가계 부채’를 말한다.

우리나라 가계신용은 통화 긴축 속 지난해 1분기 3조1000억원 줄었지만, 한 분기 만에 반등한 뒤 올해 3분기까지 여섯 분기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가계신용 중 판매신용(카드 대금)을 빼고 가계대출만 보면 3분기 말 잔액이 1845조원으로 전 분기 말(1833조1000억원)보다 12조원 불었다. 증가액은 전 분기(+23조6000억원)의 약 절반 수준으로 축소됐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잔액 1159조6000억원)이 11조6000억원 늘었고, 신용대출과 증권사 신용공여 등을 포함한 기타대출(잔액 685조4000억원)도 3000억원 증가했다.

대출 창구별로는 예금은행에서 가계대출(잔액 1003조8000억원)이 석 달 사이 10조1000억원 늘었다. 주택담보대출이 10조9000억원 늘었지만, 기타대출은 8000억원 뒷걸음쳤다.

상호금융·상호저축은행·신용협동조합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잔액 316조2000억원)도 2조원 불었다. 지난해 4분기 이후 네 분기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으나 증가 폭은 2분기 3조원보다 줄었다.

보험·증권·자산유동화회사 등 기타금융기관의 가계대출(잔액 525조원)은 1000억원 감소했다.

김민수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3분기 가계대출 특징과 관련해 “6·27 대책으로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이 줄고, 신용대출 한도가 차주별 연 소득 이내로 축소되면서 신용대출이 감소세로 돌아서 전체 가계대출 증가 폭도 2분기보다 줄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3분기 가계부채가 0.8% 늘어 증가세가 둔화한 데다 3분기 명목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실질 GDP 성장률(1.7%)로 미뤄 3분기 명목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3분기 가계신용 가운데 판매신용 잔액(123조3000억원)은 신용카드사를 비롯한 여신전문회사 위주로 3조원 증가했다.

김 팀장은 “민간 소비가 회복되는 가운데 휴가철 신용카드 사용액 증가, 부가가치세 납부 등으로 판매신용이 늘었다”고 분석했다.
이산하 기자 goback@gwangnam.co.kr         이산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www.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63457497522789000
프린트 시간 : 2025년 11월 18일 21:16: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