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항공 참사 공청회 두고 유족들 ‘반발’ 항공·철도사고조사위, 유족과 미협의…활동 중단 촉구
윤용성 기자 yo1404@gwangnam.co.kr |
| 2025년 11월 19일(수) 18:09 |
19일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항철위)에 따르면 오는 12월 4~5일 서울 글로벌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사고조사 공청회를 개최한다.
이번 공청회는 참사와 관련해 현재까지의 사실관계와 기술적 쟁점을 검증하기 위해 마련됐다.
공청회는 4개 분야를 주제로 사조위 위원과 조사관, 각 분야 전문가, 정부부처 및 관계기관, 항공사, 유가족 등 100여 명이 참석한다.
항철위는 이번 공청회를 통해 제기됐던 기술적 의문과 사실관계를 공개적으로 검증할 예정이며, 이를 토대로 공표 예정인 중간보고서의 신뢰성과 완결성을 높일 방침이다.
하지만 유가족들은 사조위의 독단적인 공청회 강행을 비판, 앞으로 일체의 조사활동을 중단할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날 12·29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협의회는 “국토부 소속 항공철도조사위원회는 조사 역량 부실, 인력 및 예산 부족 등 전문성이 현저히 부족한 상태다”면서 “정보 비공개, 일방적인 절차 진행, 비행기 잔해 증거물 방치, 현장 사진 촬영 금지 등 공정성 측면에서도 피해 당사자를 철저히 배제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음에도 불구하고, 항철위가 사전 정보공개 없이, 공청회 일정, 내용, 참석자 등에 대한 유가족과의 협의조차 하지 않은 채 공청회를 강행하는 것은 지금까지 제기된 모든 문제점의 결정판임을 천명한다”고 비난했다.
이어 “이번 공청회 강행은 부실하고 편향된 조사 결과에 대한 면죄부를 얻기 위한 형식적 절차에 불과함을 단언한다”며 “항철위가 독립해 투명하고 공정한 조사를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때까지, 공청회, 중간보고 등 일체의 조사 활동을 즉시 잠정 중단할 것을 요구한다”고 촉구했다.
끝으로 “정부는 유가족과 국민 앞에 항철위의 신뢰회복을 먼저 약속해야 한다”면서 “정당한 요구가 관철될 때까지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투쟁하겠다”고 선언했다.
윤용성 기자 yo1404@gwangnam.co.kr
윤용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