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영농형 태양광’ 돈 되지만…제도적 한계 많아
김상훈 기자 goart001@gwangnam.co.kr
2025년 11월 24일(월) 18:29
농지 위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 작물 재배와 전력 생산을 병행하는 ‘영농형 태양광’이 인기다. 발전 수익이 벼농사 단일 경작때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나 농가 경영의 새로운 대안이 되고 있다. 즉, 농지 보전과 농가 소득 증대를 동시에 충족하는 신 농업모델로 급부상하고 있다는 얘기다.

현재 전남에 있는 지역 ‘영농형 태양광’시설은 총 28개소로 발전 규모는 2528kW 규모다.

지역별로는 나주 16개소, 보성 4개소, 순천 3개소, 강진 1개소, 영암 1개소, 해남 1개소, 고흥 1개소, 영광 1개소 등이 있는데 아직은 실증 중심의 소규모 운영이라고 한다. 최근 경제성이 속속 확인되면서 현장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는 추세다다.

실제로 영암군 농업기술센터는 지난 2023년 6월부터 직영 논 1000㎡에 45kW 태양광 설비를 설치, 올해부터 벼 재배와 발전을 동시에 진행하는 실증재배에 들어갔는데 그 결과, 순수 벼농사만 할 때보다 8배가 넘는 매출 효과를 거뒀다.

일조량 감소로 벼 수확량은 벼농사만 지은 같은 면적의 대조 논(668㎏·쌀 판매수익 117만원)보다 수확량은 21% 줄어든 525㎏(수익 92만원)에 그쳤지만, 1년 간 4만8499kWh 전기를 생산, 897만원의 매출이 발생해 이를 상쇄하고도 약 872만원 수익이 늘어난 것이다.

‘보성 농업인 영농형 태양광 발전소’도 농지 2145㎡에 99.7kW 설비를 설치, 벼농사와 발전을 병행한 결과 지난해 벼 재배 수익 141만원, 발전 수익 1292만원 등 총 1433만원의 소득을 올렸다.

이에 따라 전남도는 영농형 태양광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한다.

영광군 염산면 월평마을에 내년까지 국내 최초 주민 주도형 3MW 영농형 태양광 상용화 단지를 조성하고 있고 해남 솔라시도 데이터센터파크 등에는 RE100 전력 공급을 위한 영농형 태양광 집적화단지 조성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영농형 태양광 설치 기간을 최대 8년으로 제한하는 현행 농지법 문제, 수익분배 기준 부재, 전력망 연계 불확실성 등 사업 확산을 가로막는 제도적 한계도 적지 않다. 이 때문에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법 개정과 규제 완화가 절실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김상훈 기자 goart001@gwangnam.co.kr         김상훈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www.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63976597523370000
프린트 시간 : 2025년 11월 24일 21:3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