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참사 원인, 투명하게 공개되길
검색 입력폼
취재수첩

제주항공 참사 원인, 투명하게 공개되길

임영진 사회교육부 차장

지난해 12월29일 전남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가 발생한 지 100일이 지났다.

해당 참사는 승무원 2명을 제외한 179명의 희생자 대부분이 광주·전남에 거주하는 시민들로 확인돼 지역에 큰 슬픔과 충격을 안겼다.

다행히 참사 수습에 적극적으로 나선 관계 기관의 노력으로 희생자 시신 인도 및 장례 지원이 원활하게 마무리됐다.

하지만 피해자들의 상처와 아픔은 해소되지 않았다.

배상 절차는 진척이 없는 데다 아직까지 사고 책임자 한 명도 입건하지 못하고 내사 단계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피해자들이 가장 힘들어하는 점은 제대로 된 진상 규명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특히 최근 사고 당시 관제탑과 조종사 간 교신 문구 일부만 발췌, 관제사의 책임을 추궁하는 취지의 일부 언론 보도로 피해자들은 또 다른 아픔을 겪기도 했다.

여기에 각종 의혹까지 증폭되자 피해자 지원을 맡은 광주지방변호사회 제주항공 참사 법률지원단과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광주전남지부가 법적 대응에 나섰다.

정부를 상대로 교신 기록에 대한 정보공개 청구를 시작으로, 민사상 증거보전을 신청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이들은 유족이 요청하면 형사고소도 적극 검토하겠다는 의지도 내비쳤다.

지원단은 정부가 사고 전 4분 7초간의 교신기록 일부만을 일부 유족에게 제한적으로 제공한 사실을 문제 삼았다.

제공 하루 전 공지로 유족들의 참여권도 제대로 보장되지 않았고 ‘누설 및 논평 금지 서약’을 요구해 사실상 공론화를 가로막은 사실도 폭로했다.

이러한 사회적인 갈등이 생긴 이유는 피해자와 유족들의 아픔과 상처를 조금이라도 해소할 수 있는 진상규명이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조사단이 사고기 부품 분해와 블랙박스 분석이 끝나는 6월 초 이후에 최종보고서를 통해 명확한 사고 원인을 공개하겠다고 예고한 만큼, 투명하게 모든 사실이 공개되길 기대한다.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키워드 :
- 정규 3집 낸 권진아 "최상급의 꿈 꾸고 싶은 포부 담았죠"
- 소녀시대 수영, 할리우드 진출…영화 '존 윅' 스핀오프 출연
- 강진 월남사 소장 고려시대 불경, 전남도 유형유산 지정
- 손열음, 故 박성용 금호그룹 명예회장 20주기 음악회
- 이재명, 막판까지 호남 득표전 총력…"농업이 국가 안보·전략"
- KIA 김도영, 개막전에 당한 부상 털고 34일 만에 1군 복귀
- 김태균 도의장, ‘상생 관광 조례’ 전국 첫 제정
- 전경선 도의원, 인구감소 극복 재정지원 기준 개선 촉구
- 여수세계섬박람회조직위, 전국생활체전서 섬박람회 홍보
- 전남바이오진흥원, 미래 변화대응력·경영효율성 높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