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1728만7513표 ‘역대 최다 득표’
검색 입력폼
선거

이재명 대통령, 1728만7513표 ‘역대 최다 득표’

[21대 대선 득표률 분석 결과]
49.42% …김문수 41.15%, 이준석 8.34%
‘호남 진보·영남 보수’ 구도도 여전
李 수도권·충청서 우세 부울경 선전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취임선서식에서 취임 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21대 대선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49.42%의 최종 득표율로 당선됐다. 득표수로는 역대 최다 기록을 세웠다.

4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개표가 100% 완료된 결과, 이 대통령은 49.42%,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41.15%,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8.34%를 각각 기록했다. 민주노동당 권영국 후보는 0.98%, 무소속 송진호 후보는 0.10%였다.

이 대통령은 1728만7513표를 얻으며 20대 대선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이 얻은 최다 득표 기록(1639만4815표, 48.56%)을 뛰어넘었다.

다만 득표율이 과반에는 미치지 못하면서 최다 득표율 기록(18대 대선, 박근혜 전 대통령 51.55%)은 달성하지 못했다.

이 대통령은 2위인 김 후보를 8.27%p(289만1874표) 차로 앞섰다.

역대 최대 격차 당선은 17대 대선에서 이명박 전 대통령이 당시 2위인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를 22.53%p 격차로 승리한 것이었다.

영·호남에서 보수와 진보 진영 후보가 각각 표를 독식하는 구도가 21대 대선에서도 반복됐다.

다만, 영남 일부 지역에서는 지역 구도가 다소 흔들리는 모습도 관측됐다.

더불어민주당의 전통적 텃밭으로 인식되는 호남권에서는 이 대통령은 광주(84.77%), 전남(85.87%), 전북(82.65%)에서 압도적 지지를 받았다. 지난 20대 대선(광주 84.82%, 전남 86.10%, 전북 82.98%)과 비슷한 수준으로 분석된다. 김 후보는 각각 8.50%, 9.05%, 10.86%에 그쳤다.

‘보수 텃밭’으로 불리는 대구·경북에서는 정반대를 기록했다. 김 후보는 대구(67.63%)·경북(66.87%)에서 강세를 보였으며, 이 대통령은 각각 23.23%, 25.53%를 득표했다.

김 후보는 또 부산(51.40%)·경남(51.99%)에서도 과반을 기록하며 이 대통령을 앞섰다. 울산에서는 김 후보가 47.57%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이 대통령(42.54%)을 이겼지만, 득표율 자체는 50%를 밑돌고 있다.지난 20대 대선에서는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부산·울산·경남에서 모두 과반 득표했다.

수도권과 충청 표심은 이 대통령에게 기울었다. 이 대통령은 지난 대선에서 윤석열 당시 후보에 밀렸다.

대전(이재명 48.51%, 김문수 40.59%)과 충남(47.68%, 43.27%), 충북(47.47%, 43.224%), 세종(55.63%, 33.2%) 등 충청 전역에서 이 대통령이 김 후보를 앞섰다.

이 대통령은 대선 승부처가 될 것으로 전망됐던 서울(이재명 47.13%, 김문수 41.56%), 경기(52.21%, 37.95%), 인천(51.68%, 38.45%)에서도 우세를 점했다.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전 지역에서 한 자릿수 득표율을 기록하고 있고, 민주노동당 권영국 후보는 1% 안팎의 득표율을 얻고 있다.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         이현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키워드 :
- [7일 오전예보]8일 늦은 오후 소나기, 당분간 매우 무더워
- [기고] 소서에 여름 더위 찾아온다
- KIA, 롯데에 2-5 패…위닝시리즈 마감
- [광남초대석] 임택 광주 동구청장
- KIA 김호령, 키스코 6월 MVP
- 전남대, 무인무기체계 전력 공급 고도화 착수
- 광주·전남 폭염 다음 주까지 계속
- 광주·전남 건설노동자, 생존권 보장 촉구
- 송강 광주고검장 "검찰 과오 성찰해야"
- 광주에 ‘수포자’ 없다…수학교육 혁신 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