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기석 "문화재 돌봄, 지역별 관리 인력 최대 10배 이상 차이"
검색 입력폼
국회

송기석 "문화재 돌봄, 지역별 관리 인력 최대 10배 이상 차이"

"전문성 강화·적절한 인원 안배돼야"

‘문화재 돌봄 사업’ 상시인력이 지역별로 최대 10배 이상 격차가 나 관리 문화재 수에 맞는 적절한 인원을 지역별로 안배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민의당 송기석 의원(광주 서구갑)은 26일 문화재청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9월 현재 전국 관리대상 문화재 6561건을 관리하는 돌봄 사업 상시인력은 652명이고 이 중 자격증 소지자는 203명, 1인당 관리 문화재 수는 약 10점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지난 2011년 도입돼 전국으로 확대된 ‘문화재 돌봄 사업’은 지자체와 사회적 기업 성격인 ‘문화재 돌봄단체’ 등이 주기적 현장점검 활동을 하면서 잡초제거, 제설작업, 배수로 정비, 환경미화 등 일상적 관리와 함께 창호, 벽체, 기단, 마루, 기와 등의 경미한 탈락·훼손을 신속히 수리하는 예방적 관리시스템이다.

문화재 돌봄 사업 대상에는 시·도 지정문화재 뿐만 아니라 국보나 보물 등 국가지정문화재에 대해서도 사전 예방적 정비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관련 자격증 소지자 또는 전문 인력 확충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송 의원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부산(13명)과 제주(8명)의 경우 상시인력 중 관련 자격증 소지자가 단 한 명도 없어 이들 지역에 대한 문화재 관리 전문 인력 확충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 부산은 상시인력 1인당 관리 문화재 5.4점에 불과한 반면 제주는 1인당 60.8점이나 돼 지역별 불균형이 심각했다.

송 의원은 “지난해 9월 경주에서 지진이 발생했을 때 문화재 돌봄 사업 인력이 신속히 현장에 투입돼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며 “돌봄사업을 통해 그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만큼 전문성을 강화하고, 지역별로 관리 문화재 수에 맞는 적절한 인원이 안배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성오 기자 solee235@gwangnam.co.kr         이성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