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진원, 방송영상콘텐츠산업 진흥 정책 보고서 발간
검색 입력폼
혁신도시

콘진원, 방송영상콘텐츠산업 진흥 정책 보고서 발간

독립제작사 8년간 24% 성장…IP 확대 정책 산업 견인

한국콘텐츠진흥원은 K-콘텐츠산업의 경제적 성과와 K-방송영상산업의 수출 확대 성과를 분석하고, 향후 정책 수립 방향을 제시한 ‘글로벌 경쟁 시대, 방송영상콘텐츠산업 진흥 정책 방향’ 단기 현안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K-콘텐츠가 한국 문화 홍보와 국가 소프트 파워 증진은 물론, 부가가치 창출을 통한 연관 산업 성장에 기여하고 있음을 다양한 조사 결과를 통해 확인했다. 또한 글로벌 경쟁 환경 속에서 K-방송영상콘텐츠의 지속 성장을 위한 핵심 요인으로 ‘콘텐츠 경쟁력’을 지목하며, 기존 방송영상산업 진흥 정책 체계와 향후 정책 및 발전 방향을 함께 논의했다.

국내 방송영상콘텐츠 제작 부문은 과거 소수 채널에 집중된 유통 구조에서 벗어나, 글로벌 유통판로 개척(수출), 해외 공동 제작 및 투자 유치, 2차 콘텐츠 활용 등 콘텐츠 지식재산(IP) 수익화 전략을 통해 독립적 수익 모델을 정립했다.

방송영상독립제작사의 최근 8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24%에 달했으며, 매출액은 2016년 1조4288억원에서 2023년 6조4447억원으로 4.5배 증가했다. 이 같은 양적 성장과 함께 K-방송영상콘텐츠는 작품성 또한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으며 질적 성장도 이루고 있음을 확인했다.

보고서는 콘텐츠 창작자의 성장, 기술 및 자본 투자 외에도 정부의 진흥 중심 정책이 방송영상콘텐츠 산업 성장의 핵심 기반이 되었다고 분석했다.

특히 콘텐츠 지식재산(IP) 중심 기획·제작·유통·수출 확대, 인재 양성 및 종사자 보호, 신기술 기반 인프라 구축, 금융 지원(펀드·융자) 및 세액공제와 저작권 보호까지 포괄하는 정책이 유기적으로 작동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K-방송영상콘텐츠가 글로벌 위상을 견고화 하는 ‘넥스트 K’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기존 정책의 고도화와 함께 콘텐츠 수출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콘텐츠 지식재산(IP) 기반의 전략적 지원을 확대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승홍 기자 photo25@gwangnam.co.kr         이승홍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키워드 :
- 전남신보, ‘ESG 함께해요’ 플로깅데이 활동
- 광주 인공지능사관학교, 실무형 AI 인재 양성 본격화
- 광양상의, 전남드래곤즈 홈경기 경품 후원
- "저출산 해결책, 간접세 신설·도입해야"
- 중고차 매매 전자계약·제시매도 구축 ‘맞손’
- "소통·화합 토대로 회원사 경쟁력 강화"
- 롯데 광주점 "삼원가든 갈비 맛보세요"
- 톡톡 튀는 청년 아이디어로 전남 섬·해양관광 활성화
- 전남도, 대규모 해양오염 사고 예방 관리 강화
- 전남도, 정부관리양곡 재고조사로 부정 유출 막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