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불어민주당 전남도당은 지난 4월 19일 전남도당 대회의실에서 ‘전남도당 청년위원회 발대식’을 개최했다. |
내년 지방선거에 나설 전남 22개 시군의 선출직 공직자 추천권과 막강한 영향력을 가진 자리인 데다 동서부 입장이 첨예해 경선까지도 강행할 조짐이다.
민주당 당규 31조는 ‘시·도당위원장이 시·도지사 선거에 출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시·도지사 선거일 240일 전까지 시·도당위원장직을 사퇴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현 전남도당위원장인 주철현 의원(여수시을)은 내년 전남도지사 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사퇴시한인 오는 10월 초 이전에 자리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잔여 임기를 수행할 새 도당위원장 선출이 불가피해졌다.
사퇴시한이 ‘180일 전’이었던 기존에는 잔여 6개월 임기를 맡는 ‘도당위원장 직무대행체제’를 가동했지만, 지난해 10월 당규 개정으로 사퇴시한이 8개월로 늘어났기 때문이다.
새 도당위원장 선출을 앞두고 전남 서부권 국회의원들은 재선인 김원이 의원(목포)을 염두에 두고 있다.
박지원(해남·완도·진도, 5선), 이개호(담양·함평·영광·장성, 4선), 서삼석(영암·무안·신안, 3선), 신정훈(나주·화순, 3선) 의원 등 모두 다선인 서부권 의원들은 김 의원을 적임자로 추천했고, 김 의원도 “마다 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서부권 한 국회의원은 “도당위원장은 재선 이상이 맡아야 한다”며 “김 의원이 맞는 게 합리적”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동부권 국회의원들은 서부권 국회의원들의 이런 기류에 대해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않고 있다.
22대 국회가 개원되고 전남도당위원장을 선출할 당시, 재선인 주철현·김원이 두 의원이 전반기와 후반기를 나눠 맡기로 했다. 그런데 23대 총선을 맡을 김 의원이 지방선거까지 맡게 되면 임기가 대폭 늘어나고 형평에도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더구나 지금까지 ‘전남 정치’를 서부권 인사들이 주로 독식해왔는데, 잔여 임기 도당위원장까지 서부권에게 내어 줄 수 없다는 얘기가 흘러나온다.
동부권 한 국회의원은 “아무리 그래도 이건 말이 안된다”며 “선수가 많은 서부권 의원들이 (김 의원을) 밀어붙이려 하지만 좌시하지만은 않겠다”고 밝혔다. 동부권 의원들은 대안으로 조계원 의원(여수시을)을 대표주자로 미는 분위기다.
이에 따라 지난해까지 전남의대 유치를 놓고 치열해졌던 전남 동서부 갈등이 이번 도당위원장 선출을 놓고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를 조짐이다.
역대 전남지사도 허경만 전 지사 이후 서부권 인사들이 줄줄이 독점하고 있다며 동부권 인사가 전남지사를 맡아야 한다는 ‘동부권 대망론’까지 불을 지필 가능성이 엿보인다.
동서부 갈등 속에 문금주 의원(고흥·보성·장흥·강진)도 뜻을 밝혀 눈길을 모은다. 문 의원은 동부권도, 서부권도 아니라며 잔여 임기 도당위원장직을 맡을 기회가 열린다면 훌륭하게 수행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만일 김원이·조계원·문금주 세 의원의 의사가 사전에 조율되지 않아 모두 출마를 공식화하면 전남도당은 ‘도당당원대회 준비위원회’를 꾸려 경선을 치러야 한다.
당규 47조는 시·도당위원장 선출과 관련해 ‘시·도당당원대회의 대의원 유효투표결과와 권리당원의 유효투표결과를 반영하되, 해당 시·도당 대의원과 해당 시·도 권리당원 반영비율은 권리행사 시행일을 기준으로 20대 1 미만으로 해 투표를 실시하며, 과반수의 득표자를 당선인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투표에 맡겨지는 것이다.
과반수 득표자가 없으면 결선투표도 치러야 한다.
대신 후보자가 1명으로 압축되면 시·도당당원대회 의결로 당선인을 결정하거나, 전체 유효투표의 과반수 찬성으로 당선된다.
이성오 기자 solee235@gwangnam.co.kr
이성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