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5일 (사)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은 전남 무안 망운면 일본인 소학교 정문에 세운 ‘충혼비’의 행방을 찾고 있다고 밝혔다.
해당 충혼비는 일제가 러일전쟁 이후인 1912년 다이쇼 천황의 즉위 기념사업으로, 지역의 재향군인회 분회가 헌금을 모집해 초등학교 한쪽에 건립한 것 중 하나다.
기록에는 “충혼비는 일본인 소학교 정문 앞에 서 있었던 비석으로 한 육군대장이 세웠다. 당시 학교 앞을 지나는 모든 사람은 이 충혼비에다 인사를 하며 지나가야 했다”고 적혀 있다.
광복 후 다릿돌로 사용되었던 비석을 마을 주민이 찾아다 보관하고 있었지만 주민이 수년 전 사망하면서 비석의 행방도 묘연해졌다.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관계자는 “일제가 초등학교 앞에 세운 충혼비는 우리에게 일제 식민통치의 상처를 되새기는 상징이자, 전쟁에 매달린 일본 군국주의 광기를 비춰주는 거울과도 같다”며 “일제 침략의 역사를 보여주는 소중한 역사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시도민들의 제보를 기다린다”고 당부했다.
한편, 일제강점기 때 망운면 일대는 무안군 내 다른 지역보다 일본인들이 많이 이주해 살았다.
특히 일제 말기의 망운비행장 건설 등으로 일본인 유입이 늘었고, 무안에 있는 두 개의 일본인 소학교 중 하나인 남소학교가 현 망운초등학교 자리에 들어서기도 했다. 일본인 재향군인회 분회가 있었던 곳이기도 하다.
윤용성 기자 yo1404@gwangnam.co.kr
윤용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