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군, ‘인구 10만 자립도시’ 청사진 본격화
검색 입력폼
영광

영광군, ‘인구 10만 자립도시’ 청사진 본격화

해상풍력·태양광 기반 ‘선순환 모델’ 구축
일자리·경제·인구 연계…"성장 사슬 조성"

태양광발전 사진
태양광발전 사진
풍력발전 사진
영광군이 풍부한 신재생에너지 자원을 중심으로 한 지역 주도형 성장 모델을 제시하며, ‘인구 10만 자립 도시’ 도약을 위한 청사진을 구체화하고 있다. 해상풍력과 태양광 같은 자연 자원을 에너지 산업으로 연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산업단지와 고용 창출, 인구 유입까지 이어지는 ‘선순환 체계’ 구축이 핵심이다.

22일 영광군에 따르면 연간 일사량은 4.0~4.2㎾h/㎡에 달하고, 평균 풍속은 6.0㎧ 이상을 기록한다. 이는 태양광과 풍력발전 모두에 적합한 조건으로, 영광은 이미 수년 전부터 다수의 민간 및 공공 에너지 기업들의 주목을 받아왔다.

군은 이런 천혜의 자연 여건을 ‘지속가능한 성장의 에너지’로 전환하겠다는 구상을 밝히며 에너지 중심도시로의 전환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의 첫걸음은 전력 생산이다.

군은 해상풍력·태양광 발전을 본격화함으로써 자체 에너지 생산 역량을 확보했지만 단순한 에너지 공급지 역할에 그치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생산된 전력을 중심으로 배후 산업단지와 물류·정비 기능을 갖춘 거점기지를 조성하고, 나아가 관련 기업과 기관 유치에 나선다는 복합 전략을 병행하고 있다.

특히 O&M(Operation & Maintenance) 거점기지 구축은 이번 전략의 핵심이다.

해상풍력 유지관리 기능을 갖춘 이 기지는 부품 정비, 기술지원, 선박 관리 등 고부가가치 산업을 함께 수반한다. 에너지 산업의 전 과정이 이뤄지는 클러스터로 진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전력 소비 구조도 변화시키려 한다.

지역에서 생산된 전력을 지역 내에서 우선 소비하고, 에너지 생산지로서의 혜택을 주민과 기업에 돌려주는 전력요금 차등제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이 제도가 도입되면 전력 사용 비용이 낮아져, 기업으로서는 영광이 매력적인 입지 조건을 갖춘 산업지로 평가받을 수 있다.

이는 곧 ‘에너지 특화 국가산단’ 지정으로 이어진다. 영광군은 에너지 생산·소비·산업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바탕으로, 중앙정부와의 협의를 통해 국가 단위 산단 지정을 모색하고 있다. 첨단기술, 수소 산업, AI 및 데이터센터 등 전력 다소비형 고부가가치 산업의 유치를 염두에 두고 있다.

이처럼 단계를 밟아 추진되는 전략은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하고, 나아가 인구 증가라는 실질적인 변화를 끌어내겠다는 것이 군의 목표다. ‘인구 10만 자립 도시’는 에너지에서 시작해 산업, 일자리, 주거, 교육, 문화까지 갖춘 지속가능한 도시로 나아가기 위한 종합 계획인 셈이다.

장세일 군수는 “에너지는 더 이상 대규모 사업자의 소유물이 아니라, 지역과 주민이 함께 만들어가야 할 공공자산이다”며 “영광이 가진 자원을 바탕으로 새로운 성장 사슬을 만들고, 주민에게 실질적인 이익이 돌아가는 구조를 정착시키겠다”고 말했다.
영광=정규팔 기자 ykjgp98@gwangnam.co.kr         영광=정규팔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키워드 :
- [창사 30주년] 광주은행
- [창사 30주년에 부쳐] 오늘도 열린 신문으로 정론직필의 사명 다하겠습니다
- [창사 30주년]㈜광주신세계
- [창사 30주년]중소기업중앙회 광주전남지역본부
- [창사 30주년] 빛가람혁신도시 조성 10년
- [창사 30주년] 광주은행
- [사설]광주 북구 민·관 투표율 독려 ‘눈에 띄네’
- [사설]화순탄광에 스마트팜 조성 성공하길
- [기고]기후 대선을 기대하며
- [창사 30주년 대선 여론조사] 광주·전남 유권자 95% "투표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