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KDN, ‘기후환경 에너지 대전’서 스마트 에너지 미래 제시
검색 입력폼
혁신도시

한전KDN, ‘기후환경 에너지 대전’서 스마트 에너지 미래 제시

미래 에너지체계 선도 기술 4종 출품

한전KDN이 지난 9일부터 11일까지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2025 대한민국 기후환경 에너지대전(KEET)’에 참가해 ‘스마트 에너지’ 신기술을 선보였다.
한전KDN이 지난 9일부터 11일까지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2025 대한민국 기후환경 에너지대전(KEET)’에 참가해 ‘스마트 에너지’ 신기술을 선보였다.
한전KDN이 지난 9일부터 11일까지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2025 대한민국 기후환경 에너지대전(KEET)’에 참가해 ‘스마트 에너지’ 신기술을 선보였다.
한전KDN이 지난 9일부터 11일까지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2025 대한민국 기후환경 에너지대전(KEET)’에 참가해 ‘스마트 에너지’ 신기술을 선보였다.

이번 전시회는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성장을 이끌어온 ‘신재생에너지대전(SWEET)’과 ‘국제기후환경산업전(ICEF)’을 통합한 행사로, 국내 최대 규모의 에너지 전문 전시회다. 참가 기업들은 탄소중립, 자원순환, 에너지신사업 등 다양한 최신 기술과 제품을 소개하며, 포럼·수출상담회·체험 행사 등도 함께 진행된다.

한전KDN은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FRTU) △재생에너지 감시제어장치 △전력구 감시시스템 △수소도시 플랫폼(K-H2ECP) 등 총 4종의 에너지 솔루션을 출품했다.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FRTU)는 전력공급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장비로, 배전선로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개폐기를 원격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강화된 보안기술과 TCP/IP 통신을 적용해 고장 발생 시 해당 구간을 자동으로 차단하고 우회 공급을 유도하는 기능이 강화됐다.

재생에너지 감시제어장치는 급증하는 재생에너지 설비와 전력계통의 안정적 연계를 돕는 장치로, 전력 흐름의 불안정과 품질 저하를 막아 블랙아웃 같은 사고를 예방한다. 설치가 간편하고 경제성이 높아, 분산형 전원의 확대에 따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전력구 감시시스템은 도심 지하 전력구 내의 화재, 침수, 환기 등 환경 요인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외부 침입 등 이상 상황까지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AI 기반 영상 분석 기술을 접목해 지하 공간의 이상 징후를 즉각 감지·대응할 수 있어, 전력 인프라의 안정성과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수소도시 플랫폼(K-H2ECP)은 수소의 생산부터 소비까지 전 주기를 통합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기반 시스템이다. 디지털트윈, 증강현실(AR), 시각화 포털, 빅데이터·AI 기술을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은 물론, 안전사고 예방과 에너지 운영 효율화까지 지원한다. 해당 플랫폼은 전주·완주, 안산을 시작으로 보령, 당진, 부안 등으로 확산 중이다.

한전KDN 관계자는 “기후위기 대응과 에너지 전환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이며, 그 중심에는 ICT 기술이 있다”며 “국민의 에너지 안전과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선도적 에너지 ICT 플랫폼 기업으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
이승홍 기자 photo25@gwangnam.co.kr         이승홍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키워드 :
- KIA, 한화에 2-3 역전패…전반기 4위로 마감
- KIA 윤영철, 팔꿈치 부상에 올스타전 불발…성영탁 대체 출전(종합)
- KIA 윤영철, 팔꿈치 부상에 올스타전 불발…성영탁 대체 출전
- 전남 ‘RE100 국가산단’ 조성 탄력받나
- "주차장 봉쇄·신원 확인…무서워 집 못 가요"
- 광주시의회, 첫 여성 의장 중심 민생중심 의정 운영 실현
- 광주시, 챔필 관람석 교체 속도…휴식기 60% 목표
- 광주∼나주 광역철도 사업 재추진 한다
- 광주은행, 세계(장애인)양궁선수권대회 성공개최 동참
- 양동시장, 광주 1호 ‘착한시장·거리’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