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승희 영암군수가 29일 기자간담회에서 ‘에너지 지산지소 그린시티 100 정책’을 발표하고 있다. |
![]() |
영암 에너지 지산지소 그린시티 100 정책 |
30일 영암군에 따르면 전날 기자간담회를 갖고 ‘에너지 지산지소 그린시티 100 정책’을 발표했다.
에너지 지산지소 그린시티 100 정책은 ‘바로 시작하는 미래, RE100 영암’이란 구호 아래 삼호읍 대불국가산업단지 일대에 신재생에너지 허브, 해상풍력 기자재 특화단지, 에너지자립 그린시티를 조성하는 게 핵심이다.
영암군의 계획은 대불국가산업단지와 인근 삼호·삼포지구 기업도시에 신재생에너지 수소·태양광 허브를 구축해 대불산단 등의 RE100산단화를 달성하고, 해상풍력 기자재 특화단지로 조선업의 산업전환을 유도하는 동시에 에너지자립 그린시티로 RE100산단 인력의 정주 여건을 뒷받침하는 내용이다.
먼저 군은 태양광 신재생에너지 허브로 미암·삼호지역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을 정부에 건의해 지정을 앞두고 있다. 610㎿급 영암호 수상태양광, 1500㎿급 간척지 태양광 집적화 단지를 만들어 2030년부터 대불산단에 전력을 공급하고, 2035년 RE100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나아가 왕겨 등 농업부산물을 원료로 한 바이오수소 생산시설 30기 등으로 구성된 수소 신재생에너지 허브를 구축해 수소충전소 등 인프라를 만들고 수소연료전지로 RE100산단에 전기·온열을 공급해 기상 상황으로 발전변동이 큰 태양광의 단점을 보완한다는 구상이다.
또 해상풍력 기자재 특화단지로 관련 산업 소재·부품·장비 공급망 구축과 함께 국산화·자립화 달성으로 대불산단 주력업종인 조선업의 해상풍력 기자재 산업으로 안정적 전환도 유도하기로 했다.
특히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지역공약인 ‘대한외국인 행복도시’와 연계해 RE100산단의 주거·교육·상업·문화 배후도시를 조성하고, 글로벌 재생에너지 인재 육성, 지방이민청 신설 등을 추진한다.
그동안 영암 지역은 하루 평균 3.6시간의 일조시간, 대불산단 등 전력 최대 수요처를 보유해 RE100 실현 최대 입지로 여겨져 왔다.
이런 장점을 뒷받침하기 위해 군은 지난해 1월 분산에너지 추진 전략 포럼 개최, 7월 기업 RE100 지원 업무협약 체계, 12월 RE100비전 선포로 이어지는 정책을 내실 있게 진행해 왔다.
무엇보다 ‘대불산단 에너지 자급자족 인프라 구축 사업’ ‘분산에너지 활용 VPP(통합발전소) 플랫폼 구축사업’ 등 재생에너지와 산업단지를 연결하는 기술을 축적하고, 관련 시스템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우승희 영암군수는 “재생에너지 최적 입지에 에너지 대전환을 착실히 준비해 온 영암군이 RE100산단과 에너지신도시의 최적지이다”며 “정부는 대불산단을 RE100산단으로 지정하고, 추가 RE100산단 지정과 대기업 영암 유치를 적극 지원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영암=한창국 기자 hck1342@gwangnam.co.kr
영암=한창국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