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부가 ‘중대재해와의 전쟁’을 선포하며 강력한 제재에 나서고 있지만 한국산업단지공단 관할 산업단지에서는 여전히 중대사고가 잇따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전남지역만 하더라도 최근 5년간 30건의 중대재해 사고가 발생,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9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의원이 한국산업단지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0년부터 올해 6월까지 산단공이 관할 중인 67개 산업단지에서 발생한 중대재해는 모두 133건이다.
집계는 산업안전보건법상 중대재해 해당 항목인 사망사고, 재산피해 1억원 이상, 유해화학물질 누출 사고로 한정됐다.
연도별 사고 건수는 2020년 26건, 2021년 25건, 2022년 26건, 2023년 23건, 2024년 24건, 올해 상반기 9건으로 매년 20건 이상의 중대사고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이 가운데 광주·전남 내 산단에서 발생한 중대사고는 모두 30건이다.
세부적으로 ‘죽음의 화약고’라는 오명을 안고 있는 여수산단이 13건으로 가장 많다. 이어 광양산단 10건, 대불산단 5건, 빛그린산단과 첨단산단 각 1건씩이다.
전국적으로 발생한 산단 내 사고 유형 중 ‘산업재해’가 전체의 75건으로 56.3%를 차지했다. 이어 화재 31건(23%), 폭발 15건(11%), 유해화학물질 누출 12건(9%) 순이다.
김원이 의원은 “산업단지 내 반복되는 중대사고는 단순히 기업의 문제가 아니라 구조적 안전관리 부실의 결과”라며 “고위험 지역에 대한 디지털 기반 정밀점검 체계 도입과 기관 간 협업 시스템의 실효성 확보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송대웅 기자 sdw0918@gwangnam.co.kr
송대웅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