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1일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정 의원(파주 을)이 한전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포함된 송·변전설비 건설사업 54건 가운데 30건(55%)이 지연 또는 지연이 예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보면 송전선로 건설사업 29건 중 14건(48%)이, 변전소·변환소 건설사업 25건 중 16건(64%)이 지연되거나 지연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특히 재생에너지 발전단지와 직접 연계된 주요 송·변전 사업의 준공 시점이 줄줄이 늦춰지고 있다. 동해안~수도권 500㎸ 직류송전선로의 경우 당초 2019년 준공을 목표로 했지만, 7~8년 이상 늦춰져 2026~2027년 말 완공이 예상된다. 새만금·신안 해상풍력 연계선(345㎸)도 2031~2033년에야 완공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 정부가 제시한 ‘2030 재생에너지 보급 목표’에 맞추기 어려운 일정이다.
한전은 공사 지연의 원인으로 △주민 수용성 부족 △보상 지연 △인허가·환경영향평가 절차 장기화 △재생에너지 연계사업 승인 지연 △부지 확보 난항 등을 꼽았다.
이처럼 복합적이고 구조적인 문제는 단기간 해소가 어렵다는 점에서 향후 전력망 안정성과 산업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
박정 의원은 “송전망이 제때 깔리지 않으면 아무리 발전소를 세워도 전기를 공급할 수 없다”며 “재생에너지 확대의 핵심은 전력 계통의 안정성과 공공성”이라며 “정부와 한전이 송전망 사업을 국가전략사업으로 격상하고, 인허가 단축과 공공 참여 확대 등 근본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산하 기자 goback@gwangnam.co.kr
이산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