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업종별 2026년 수출 전망 |
11일 한국경제인협회가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10대 수출 주력 업종주을 영위하는 매출액 1000대 기업들을 대상으로 ‘2026년 수출 전망 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 기업들은 내년 수출이 올해 대비 0.9%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수출은 전년 대비 2% 내외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업종별로는 ‘선박’(5.0%), ‘전기전자’(3.1%) 등 6개 업종의 내년도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 반면, ‘자동차’(-3.5%), ‘철강’(-2.3%) 등 4개 업종은 감소할 전망이다.
내년 수출이 증가할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들은 ‘글로벌 업황 개선에 따른 수요 증가’(33.7%)와 ‘수출시장 다변화를 통한 판로개척’(22.8%) 등을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수출 감소를 전망한 기업들은 ‘관세 등 통상환경 불확실성 증가’(67.3%)를 가장 큰 이유로 지목했다. 그 외에 ‘주요 수출 대상국 경기 부진’(8.6%), ‘중국발 세계시장 공급과잉’(8.6%), ‘미·중 무역갈등 심화’(8.6%)도 수출 감소 전망의 원인으로 조사됐다.
응답 기업의 대부분(95.3%)은 내년 수출 채산성주이 올해와 비슷(77.3%)하거나 악화(18.0%)될 것으로 봤다. 내년 수출 채산성이 개선될 것이라 답한 기업은 4.7%에 그쳤다.
업종별로는 10개 조사대상 업종 중 8개 업종(석유제품, 철강, 자동차부품, 자동차 등)에서 채산성 ‘악화’ 응답 비중이 ‘개선’ 응답 비중보다 높게 조사됐다. 선박은 모든 기업이 올해와 비슷할 것이라 응답했으며, 전기전자는 채산성이 ‘개선’될 것이라 응답한 비중과 ‘악화’될 것이라고 응답한 비중이 동일했다.
‘관세로 인한 비용 부담 증가’(63.0%), ‘수출 경쟁 심화로 인한 수출단가 인하’(14.8%), ‘환율 상승에 따른 수입비용 증가’(11.1%), ‘미·중 무역 갈등 심화’(11.1%) 등이 채산성 악화 원인으로 지목됐다.
아울러 채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적정환율은 평균 1375원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올해(1월 2일~11월 5일 기준) 원달러 평균 환율은 1414원(매매기준율 기준)으로 적정환율에 비해 39원 높았다.
내년 수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리스크로는 ‘트럼프 행정부 관세정책’(53.3%)을 꼽았다. 이어 ‘원화 약세로 인한 환율 불안정’(17.3%), ‘미·중 무역 갈등 심화’(16.7%) 등 순이다.
올해 4월 미국의 관세 인상 후 수출 기업들의 매출액(-1.1%)과 영업이익(-1.3%)이 모두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관세 부과로 손해를 입은 업종(매출액, 영업이익)은 총 8개로, 자동차(-9.5%, -8.5%), 철강(-3.4%, -4.0%), 석유화학(-1.5%, -0.7%) 순이다.
기업들은 관세 인상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수출단가 조정’(28.0%), ‘생산 원가 절감을 통한 비용 흡수’(25.8%), ‘수출시장 다변화를 통한 판로 개척’(16.5%) 등을 고려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한경협 관계자는 “기업들의 최대 현안이었던 한미 관세 협상이 타결됐으나 기업들은 여전히 통상 불확실성을 체감하는 상황”이라며 “정부는 통상환경 개선을 위한 외교적 노력과 함께 세제지원 및 외환시장 안정 등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송대웅 기자 sdw0918@gwangnam.co.kr
송대웅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2025.11.11 (화) 1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