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비정규직 총파업 예고…학교급식 차질 우려
검색 입력폼
사회일반

학교비정규직 총파업 예고…학교급식 차질 우려

집단 임금협상 중단 여파…20일 1500명 상경 투쟁
시·도교육청 비상체제 돌입…급식 공백 최소 총력

광주·전남지역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교육 당국과의 집단임금 교섭 결렬로 오는 21~22일 총파업에 돌입한다. 이에 따라 일부 학교에서는 빵·우유 등으로 대체 급식을 해야 하고, 늘봄교실과 유치원 등 돌봄 서비스에도 차질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광주·전남지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19일 “저임금 구조 철폐와 임금 격차 해소를 위해 총파업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13일 교육부 및 17개 시·도교육청과 진행한 6시간의 본교섭이 결렬되면서 임금·복지 협상이 중단된 데 따른 조치다.

광주에서는 급식을 제공하고 있는 258개 학교 중 이날 오후 6시 기준 71개 학교에서 정상 급식을 운영한다는 회신을 보냈다.

본격 파업 전까지 지난해와 같은 수준인 약 50%의 학교에서 급식이 중단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전담사·실무사·강사 등이 포함된 방과 후 돌봄 서비스의 경우 파업에 참여하는 수가 적고, 민주노총 소속이 아닌 한국노총 소속으로 이번 파업에 참여하지 않을 것으로 보여 큰 차질은 빚어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파업 첫날인 20일에는 광주 500여명, 전남 1000여명이 상경 투쟁에 나설 것으로 추정된다.

앞서 연대회의는 △교육공무직 임금체계 개편 △기본급·명절상여금 격차 해소 △방학 중 무임금 개선 △복리후생 차별 해소 등을 요구해 왔다. 반면 교육 당국은 △기본급 7만2000원 인상 △명절휴가비 연 5만원 인상안을 제시하며 예산 한계를 이유로 난색을 보였다.

연대회의는 “수차례 집단교섭에도 교육 당국이 요구를 외면해 노동자를 총파업으로 내몰았다”고 비판했다. 이어 “정부와 국회는 차별 해소 예산 확보, 저임금 구조 개선, 학교급식 종합대책 마련, 교육공무직 법제화 등에 즉시 나서야 한다”며 “총파업 이후에도 진전이 없으면 신학기 총력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각 시·도교육청은 전국 동시 총파업에 대비해 종합대책 상황실을 가동하며 대응에 나섰다.

광주시교육청은 부교육감을 본부장으로 하는 비상대응본부를 꾸리고 급식·늘봄·특수·유아교육 등 학생 생활과 안전에 직결되는 분야에 대한 전담 대응 매뉴얼을 마련했다. 전남도교육청도 본청과 전 교육지원청에 파업대책 상황실을 설치하고 학교별 맞춤 대응책을 수립했다.



교육청 관계자는 “노동자의 쟁의권은 존중하지만 학생들의 학습권과 안전이 노사 갈등의 희생양이 되어서는 안 된다”며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실시간 모니터링과 현장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윤용성 기자 yo1404@gwangnam.co.kr        교육청 관계자는 “노동자의 쟁의권은 존중하지만 학생들의 학습권과 안전이 노사 갈등의 희생양이 되어서는 안 된다”며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실시간 모니터링과 현장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윤용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