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8년 넘게 표류하던 지역 최대 현안사업인 ‘광주 민간·군 공항’의 무안국제공항으로의 통합 이전이 속도를 내게 됐다.
이해 당사자인 광주시와 전남도, 무안군이 대통령실이 마련한 중재안에 대해 큰 틀에서 합의해 이제는 실행국면에 접어 든 것이다.
이전 논의는 무안국제공항 개항때인 지난 2007년부터 제기돼 왔는데 그동안 ‘민간·군 공항의 패키지 이전’을 주장하는 광주시와 ‘선 민간공항 후 군공항 이전’을 추진한 전남도 등과 이견차를 좁히지 못해 지금까지 답보상태에 머물렀다.
강기정 광주시장,김영록 전남도지사, 김산 무안군수는 지난 19일 서울에서 대통령실 김용범 정책실장 주선아래 광주 민간·군 공항 통합이전 추진을 위한 사전협의를 가졌다.
이번 회의는 지난 6월 대통령이 광주·전남 타운홀 미팅 중 약속한 ‘대통령실 주관 군공항 이전 6자협의체’의 사전협의로, 그동안 각 기관이 제기한 쟁점을 논의하고 주요 현안에 대한 상호입장을 공유하는 자리였다.
이들은 이날 무안군 발전을 위한 첨단산업기반 국가산단 조성과 1조원 규모의 주민지원사업 재정확보, 2027년 호남고속철도 2단계 개통에 맞춰 민간공항의 무안 이전 등 정부가 마련한 중재안에 대해 큰 틀에서 공감대를 형성했다. 그동안 여러 난제로 인해 답보상태에 머물렀던 통합이전논의가 이번 협의에서 한발짝 나아간 것이다. 대통령실과 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 광주시, 전남도, 무안군 등이 참여하는 6자 협의체도 12월 중 공식 출범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광주시는 6자 협의체에 참여해 무안군 지원방안의 구체적 실행 로드맵을 마련, 실무협의회에서 구체적으로 논의해 나가기로 했다.
무안군도 사회단체, 전문가, 언론, 주민 등 군민의 의견을 다양하게 수렴해 6자협의체에 반영해 나가기로 했다고 한다.
광주 민간·군공항 이전 논의가 국가 주도로 급물살을 탔지만 현실화되기까지는 아직도 갈 길이 멀다. 통합이전을 위한 세부 항목 조율, 주민 투표 등 해결해야 될 과제 또한 만만치 않아서다.
이해 당사자인 광주시와 무안군, 그리고 전남도는 이 문제를 양지역이 상생할 수 있는 방향으로 슬기롭게 풀어 나가길 바란다.
정부도 통합이전의 걸림돌 제거에 최선을 다해주길 바란다.
김상훈 기자 goart001@gwangnam.co.kr
김상훈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2025.11.20 (목) 2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