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특히 전남도청이 있는 무안·목포조차 올해 새롭게 ‘소멸위험지역’에 포함되면서 전남 서남권의 소멸위험이 가시화됐다. 목포 인구는 지난 1997년 24만9000 명을 정점으로 지난 2005년 24만 명 아래로 내려왔고, 지난 2019년엔 23만 명선이 무너졌으며, 2021년에 22만 명 아래로 내려와 지난 8월 현재 21만 1257명이다.
전남 서남권이 주목받는 이유는 산업도시인 동부권과 광주시를 둘러싼 전남 북부에 비해 이렇다할 기반이 없기 때문이다. 기존 조선산업과 해양산업단지가 큰 타격을 입은 이후에 재생에너지산업을 축으로 부활을 기대하지만 기대보다 발전 속도가 더딘 상황이다. 따라서 수년 안에 획기적인 진전이나 새로운 처방이 나오지 않으면 서남권은 인구 유출과 지역소멸이 가시화될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광주시 인근 시군들을 광주를 중심으로 ‘빛고을광역경제권’을 조성한다는 협약까지 체결했고, 여수와 광양이라는 산업도시를 가진 전남동부권은 순천과 인근 곡성·구례·고흥·보성까지 합하면 인구 수(87만여명)가 전남의 46.80%에 달한다.
하지만 서남권은 점차 말라가고 있다. 서남권의 고사를 그냥 지켜봐서는 안 되는 이유는 광주전남의 상생축이 무너지기 때문이다.
윤석열 정부는 서울과 광주, 부산 등 세 축을 중심으로 하는 ‘메가시티’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광주가 ‘서남권 메가시티’의 핵심도시이고, 전남 동부권와 서남부권, 전북권은 메가시티를 살찌우고 부양시켜 상생을 극대화할 주요 동력이다. 그런데 전남 서남권이 무너지면 ‘메가시티’는 동력을 잃고 휘청거리게 된다.
교착 상태에 빠진 광주 민·군 공항 이전 해법을 찾기 위해 광주전남 민·관·정이 6일 연석회를 갖는다. 그런데 공항 이전 유력 후보지인 무안의 지역구 국회의원과 군수, 전남도지사 등은 물론 전남 지역구 국회의원들도 회의에 불참을 통보했다. 연석회의는 시작하기도 전에 ‘반쪽짜리’로 전락했다.
이렇게 된 원인은 양 지역 간 신뢰가 깨졌기 때문이다.
무안국제공항이 개항된 2007년에 광주시는 광주~무안 고속도로 미개통을 이유로 국제선을 보내지 않았다. 이후 고속도로가 개통되자 1년 후에야 국제선을 넘겨줬다. 광주시는 이때 국내선도 같이 보내는 것이 타당했지만 KTX 개통(2015년) 이후로 미뤘고, 지금도 보내지 않고 있다.
또 2020년 8월에는 이용섭 광주시장, 김영록 전남지사, 김산 무안군수가 ‘무안국제공항 활성화 협약서’에 서명했다. 2021년까지 광주 민간공항 국내선을 무안으로 통합한다는 내용이 담긴 협약이었다. 하지만 2020년 11월 광주시는 시민권익위원회 정책권고를 들어 일방적으로 이를 폐기했다.
이정록 전남대 지리학과 명예교수는 이에 대해 “광주 군공항 이전을 둘러싼 광주와 무안 간 갈등은 ‘공동체 신뢰’가 깨졌기 때문”이라며 “광주시가 훼손한 결과”라고 주장한다.
광주전투비행장무안이전반대범군민대책위원회(이하 범대위) 박문재 상임대표 “광주 민간공항의 무안국제공항으로 통합은 단순히 국내선 기능이전에 불과할 뿐인데, 마치 전투비행장이 서남권 발전을 견인할 것처럼 상생이라고 포장하며 민간·군 공항을 무안으로 이전해 무안군민의 희생을 강요하려 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해법은 광주 민간공항 이전과 서남권발전전략이다.
우선 민간공항부터 무안에 보내야 한다. 그것이 신뢰회복의 첫 신호탄이고 출발점이다. 공항만 보낼 게 아니라 서남권의 발전전략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서남권이 흔들리면 광주발전전략도 결국 절름발이가 된다.
중요한 것은 역지사지다. 광주의 시각과 입장에서만 보면 답답하겠지만 전남 서남권의 시각에서 무안의 시각에서 바꿔놓고 보면 울화통이 터질 일이다.
이성오 기자 solee235@gwangnam.co.kr 이성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