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 이유"…광주 극단 선택 사망자 증가세
검색 입력폼
지방의회

"경제적 이유"…광주 극단 선택 사망자 증가세

정다은 "중장년층·경제 취약계층 실효성 대책 절실"

광주지역 최근 3년간 자살자 수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경제적 이유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정다은 광주시의원(더불어민주당·북구2)은 9일 복지건강국 결산심사에서 “광주시의 자살예방 정책의 실효성 부족과 경제위기 취약계층에 대한 맞춤형 지원 대책 강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근 3년간 통계에 따르면 자살자 수는 꾸준히 증가해 2024년 처음으로 400명을 넘어섰으며, 2022년 358명, 2023년 388명, 2024년 411명, △2025년 91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경제적 문제로 인한 자살 비율은 2022년 23.5%에서 2024년 31.6%까지 꾸준히 증가했다. 전체 자살자의 40%는 40~59세 중장년층이었다.

광주시는 최근 3년간 자살예방 관련 사업에 약 22억 원을 집행했으며, 2024년 한 해에만 정신응급대응체계관리 등 6개 사업에 약 9억원을 투입했다.

정다은 의원은 “경제적 요인에 따른 자살 증가는 고용 불안 등 복합적인 사회 위기에서 비롯됐고, 불행히도 대유위니아 법정관리와 금호타이어 화재와 같은 지역 사회 내 악재들이 끊이지 않고 있어서 수 년 내에 자살율 상승 위험이 현실화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그는 현장 노력만으로는 자살률 감소에 한계가 있다며, 중장년층과 경제 취약계층을 위한 맞춤형 대책 강화와 지속가능한 사회안전망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장승기 기자 sky@gwangnam.co.kr         장승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키워드 :
- 한국은행 통화정책경시대회 지역예선 열려
- EPL 브라이턴 입단 윤도영, 엑셀시오르 임대 공식 발표
- 홍명보호 외국인 코치진, 해외파 점검…'한국계' 옌스도 체크
- 데뷔 25주년 보아, 내달 11집 '크레이지어' 발표
- 광주시, ‘드림 만남의 날’ 구직청년 1700명 몰려
- 싱어송라이터 안예은 디지털 싱글 발표
- 치아교정·정신건강 분석…AI 시민 체험 기회 열린다
- 광주과기원 지스트홀딩스, 75억 펀드 운용 확정
- 광주상의, 22일 FTA활용·관세환급 실무교육
- 광주시, 찜통더위 날릴 물놀이장·분수 가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