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전남도 신재생에너지 전략거점 거듭나길
검색 입력폼
사설

[사설]전남도 신재생에너지 전략거점 거듭나길

전남도가 빠른 속도로 신재생에너지 전략거점도시가 되고 있다고 한다. 정부의 ‘친환경 재생에너지로의 대전환’기조속에 최근 2.6GW 규모의 해상풍력 발전사업 허가를 추가로 받는 등 관련 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어서다.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27일 제313차 전기위원회 심의를 열고 신안 블루자은, 신안 케이윈드파워, 여수 이순신1 등 2.6GW 규모의 서남해 해역 7개 해상풍력 사업의 발전사업을 허가했다.

이에 따라 전남의 해상풍력 누적 허가 규모는 기존 18.7GW에서 21.3GW로 늘어났다. 이는 전국 발전사업 허가량 34.8GW 중 61%에 해당하는 수치다.

당초 해상 풍력 보급 목표가 여수 9GW, 고흥 4GW, 영광 5GW, 해남 0.3GW, 진도 2.3GW, 완도 1.2GW, 신안 8.2GW 등 30GW 규모인데 이번 승인으로 보급률이 71%까지 된 것이다. 전남도 신에너지 구상이 실질적 개발로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실제 전남은 수치 등 모든 면에서 명실상부한 에너지 전환 선도 지역이다. 전국 태양광 발전설비의 20%, 풍력 설비의 45%를 차지하며 모두 1위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신안 해역에서 진행 중인 8.2GW 규모의 해상풍력 프로젝트는 48조 원이 넘는 민간 자본이 투입되는 국내 최대 단일 프로젝트로 일부 단지는 올해 말 시운전을 거쳐 내년부터 상업운전에 들어갈 예정이다.

정부의 ‘친환경 재생에너지 정책’도 여기에 가세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후보 시절 전남을 ‘에너지 전환의 테스트베드’로 지목하며 친환경 재생에너지 대전환 , RE100 실현, 기후에너지부 신설 등을 공약한 바 있다. 현재 이들 과제는 새 정부의 국정과제로 공식 추진 중이거나, 검토 단계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직까지 해상 풍력이 지속 가능한 발전이 되기 위해서는 송전망 확충, 해양 생태계 보전, 주민 수용성 확보, 인허가 간소화 등 넘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고 한다.

전남도가 앞으로 주민참여형 이익공유 모델인 ‘바람연금’ ‘햇빛연금’을 확대하고, 정부와의 정책 조율을 통해 문제점을 하나둘씩 개선해 나가길 바란다.
김상훈 기자 goart001@gwangnam.co.kr         김상훈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키워드 :
- ‘고종욱 역전 결승타’ KIA, SSG 꺾고 3연승 질주
- "정남진 장흥 물축제로 오세요"
- 기아, 상반기 역대 최다판매…스포티지 28만대 ‘1위’
- 전남대병원 '지역의료 연구역량 강화' 선정
- 한밤중 고흥 상가 침입한 절도범 검거
- 광주도시철도 2호선 공사 지연…시민 불편 가중
- 광주 남구 고향사랑기부 이벤트…KIA 유니폼 제공
- 광주 남구 공무원노조 "갑질 간부 복귀 안돼"
- [사설]광주 서구 ‘골목형상점가’ 지역경제에 활력
- "도심 열섬 현상…생활 밀착·맞춤형 전략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