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경 시대' 끝나고 4년 만에 VNL 강등된 한국 여자배구
검색 입력폼
배구

'김연경 시대' 끝나고 4년 만에 VNL 강등된 한국 여자배구

2025 VNL에서 1승 11패로 18개국 가운데 최하위
이정철 해설위원 "저변 부족 우려가 현실로…더 강해져야 한다"

1승 11패.

2025 국제배구연맹(FIVB) 발리볼네이션스리그(VNL)에 출전한 한국 여자배구 대표팀이 받아 든 성적표다.

지난 13일 프랑스에 세트 점수 0-3으로 완패해 대회 모든 일정을 마감했던 한국은 ‘탈꼴찌 경쟁’ 중이던 태국이 14일 캐나다와 최종전에서 2-3으로 패해 승점 1을 확보하면서 18개국 가운데 최하위로 대회를 마쳤다.

이에 따라 한국 여자배구는 VNL 강등이 확정, 내년부터는 VNL에서 뛸 수 없다.

원래는 VNL의 하위 리그 격인 ‘챌린저컵’이 있었지만, 지난해 이 대회가 폐지되면서 한국 여자배구는 아시아배구연맹(AVC)이 주최하는 대회에만 출전할 수 있다.

현재 세계 랭킹 37위인 한국 여자배구는 내년 AVC 네이션스컵과 아시아선수권대회, 동아시아선수권대회 등에서 최대한 많은 포인트를 모아야 한다.

그래야만 2027년부터 다시 VNL에 진입하는 걸 기대할 수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쉽지 않다.

한국 여자배구의 추락은 하루아침에 이뤄진 일이 아니다.

2021년에 열린 2020 도쿄 올림픽에서 ‘4강 신화’를 일궈냈던 한국 여자배구는 그 대회를 끝으로 김연경, 양효진(현대건설) 등이 국가대표 은퇴를 선언하면서 내리막을 걷기 시작했다.

그 4년 동안 과거의 영광을 재현하기 위해 여러 노력을 기울였지만, 세계 무대와 수준이 벌어지는 것을 막아줄 구세주는 등장하지 않았다.

지난해까지 국제대회 30연패라는 수모를 겪었던 한국 여자배구는 지난해 VNL에서는 태국과 프랑스를 잡고 간신히 꼴찌를 모면했으나 올해는 마치 정해진 운명처럼 강등을 피하지 못했다.

국제대회의 부진은 국내 리그에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안 그래도 지난 시즌을 끝으로 김연경이 코트를 떠난 마당에, 여자 배구 대표팀마저 VNL에서 강등되면서 추락이 가속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한 배구 관계자는 “지구 온난화로 빙하가 녹아 나라 전체가 속수무책으로 물에 잠기는 나라처럼, 한국 여자배구도 마치 ‘피할 수 없는 비극’이 닥친 느낌”이라고 안타까워했다.

더 큰 문제는 당장 눈에 띄는 해답도 없는 점이다.

이번 대회에서 정윤주(흥국생명), 육서영(IBK기업은행) 등이 대표팀 주축 선수로 성장할 가능성을 보여주긴 했어도, 이들이 혼자 힘으로 팀을 바꿔놓을 수는 없다.

게다가 이들이 성장하려면 국제 무대에 출전해 경험을 쌓는 게 필요하지만, 기회 자체가 줄었다.

아무리 VNL에서 부진한 성적을 거둬도, 큰 무대에서 세계 최정상급 팀들과 경쟁하는 것 자체가 한국 여자배구의 성장에 도움이 된다.

VNL 탈락과 챌린저컵 폐지로 한국 여자배구는 당분간 ‘우물 안’에서만 놀아야 한다.

다음 달 경남 진주시에서 열리는 2025 코리아 인비테이셔널 국제여자배구대회에서 일본, 체코, 스웨덴, 프랑스, 아르헨티나 등과 경기를 치르고 나면 내년에는 아시아 팀들만 상대할 처지다.

대한배구협회 관계자는 “이번 초청 대회처럼 내년에는 남자팀 국제대회를 추진 중이라 2년 연속 여자 국제대회를 개최하기 어려운 게 사실”이라며 “해외 전지훈련 등 기회를 마련하고자 여러 방법으로 고민 중”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VNL 탈락’을 현실로 받아들이고, 몇 년이 걸리더라도 기초를 다지는 게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이정철 SBS 스포츠 해설위원은 “상황이 어려운 것은 이해하지만, 어떻게든 강등만은 피했어야 했다. 2주 차에 캐나다를 잡고 1승을 거둔 뒤 1승도 추가하지 못한 게 안타깝다”고 대회를 돌아봤다.

이어 “현실적으로 국내 여자배구 저변이 부족하다. 많은 배구인이 이 부분을 우려했고, 결국 현실로 다가왔다. 이제부터라도 잘 준비해서 VNL에 복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국 여자배구가 다시 세계 무대에서 ‘강스파이크’를 날리려면, 지금 뛰고 있는 선수들부터 뼈를 깎는 각오로 마음을 재무장해야 한다.

이 위원은 “누군가는 선수들을 강훈련으로 단련하도록 궂은일을 해야 한다. 결국 배구는 6명의 선수가 코트에 공을 떨어뜨리지 않도록 버티는 종목이다. 세계 무대에서 좋은 성과를 유지하는 일본을 참조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키워드 :
- 호남권 경제동맹으로 지역 소멸 위기 맞선다
- [14일 오후예보]15일 오후까지 비, 곳에 따라 소강상태
- [KIA 2025시즌 전반기 결산-상] 불안정한 마운드 경기력…후반기 단단함 살아나야
- 광주장애인체육 발전위원회, 세계양궁선수권 후원금 쾌척
- 광주교통공사 황수련, 전국유도대회 ‘금빛 메치기’
- 전세버스 노조 "차량 판 돈 못 받아"
- 긴박했던 10분…내원 환자·보호자 가슴 ‘철렁’
- [만년필] 은행 직원 상습 행패 50대 ‘실형’
- 광주 북구, 주민등록 등·초본 ‘무료 발급’
- 광산구, 맨홀 추락 방지 시설 110개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