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진숙 의원은 이날 열린 국회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광주의 경우 사망 1명, 실종 1명 등 인명피해를 비롯해, 도로·건물·차량·수목 등 물적 피해도 총 1311건이 발생해 피해 금액(추산)은 362억 원에 달하고, 광주 북구만 해도 140억 원 이상의 피해가 예상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전 의원은 “천 마디 위로의 말보다, 하나의 현실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광주시에 대한 신속한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통해 빠른 복구와 정상화를 가능하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예측 불가능한 기후재난은 더 이상 예외적 사건이 아니고, 기후위기는 이미 시작됐고, 앞으로 더욱 자주, 더 큰 류모로, 더 예측 불가능하게 다가올 것”이라며 “재해대응 패러다임의 전환과 국가 책임 강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전 의원은 “배수펌프장, 저류지 등 핵심 시설의 확충을 비롯해 지방하천 정비사업에 국비지원이 필요하다”며 “지난 2020년에 지방하천 정비사업이 지방으로 이양됐지만 재정 형편이 어려운 지자체는 손 놓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 기후재난 인프라에 대한 국비지원 확대와 국가 책임을 강화하는 법 체계 정비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전 의원은 “국가하천과 연계된 주요 지방하천을 국가지원 지방하천으로 지정하고, 국가가 직접 공사를 실시하도록 하는 하천법 개정과 상습침수구역의 지하건축물에 대한 침수방지시설 설치를 의무화하는 건축법, 그리고 소하천 정비에 대한 국고지원 근거를 마련하는 소하천정비법 등 기후재난에 대비할 수 있는 법체계로 전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별재난지역 선포기준이 너무 높고, 보상수준이 낮은 문제에 대한 해결도 요구했다.
전 의원은 “윤석열 정부는 선포기준을 65억 원에서 82억5000만 원으로 강화했는데, 이는 재정 여력이 부족한 지자체에 고스란히 부담으로 작용한다”며 “보상수준도 낮아 일상으로의 회복이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또 “재해는 누구에게나 올 수 있다. 우리 사회 전체가 책임을 져야 한다”며 특별재난지역 선포기준 완화와 재난피해자의 일상으로 회복을 위해 재난대응기금 설치를 촉구했다.
이성오 기자 solee235@gwangnam.co.kr
이성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