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송대웅 경제부 차장 |
최근 호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전북·전남·제주지역 귀농어·귀촌인 현황’ 자료를 보면 지난해 전남지역 귀농 가구는 1516가구로, 3년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귀어 역시 2021년 383가구에서 지난해 194가구로 줄었고, 귀촌은 2021년 대비 16% 넘게 감소했다.
수치만 놓고 보면 귀농·귀어·귀촌이 지역사회의 활력원이 되기 보다는 그 자체로도 버티기 힘든 단계에 들어섰다는 것을 보여준다.
더 주목할 점은 이 감소세의 이면에 자리한 ‘1인 가구 현상’이다.
전남 귀농 가구의 82.8%, 귀어 가구의 78.4%가 1인 가구다. 10가구 중 8가구가 홀로 들어온다는 뜻이다. 흔히 농어촌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을 것이라고 기대했던 귀농·귀어 인구가 사실상 공동체의 회복보다는 개인적 생계유지나 은퇴 후 거주 성격에 머물고 있음을 시사한다.
귀농의 경우 작물 재배 면적을 봐도 0.5ha 이하가 85%를 차지한다. 사실상 자급자족 수준의 소규모 농사가 대부분이다.
귀어도 마찬가지다. 어로어업 종사자가 80%를 넘지만 소규모·개별 단위로 머무르며 어촌 사회를 지탱할 집단적 기반으로 이어지지 못한다.
1인 귀농·귀어가 늘어난 것은 인구 구조와 사회문화적 변화를 함께 반영한다. 고령 은퇴자가 홀로 농촌으로 내려와 소일거리를 하거나 도시 생활에 적응하지 못한 청·장년이 혼자 귀어촌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문제는 이들이 지역 공동체에 뿌리내리기보다는 일정 기간 머물다 떠나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점이다.
귀농인의 연령대를 보면 60대가 36.5%, 50대가 29.3%를 차지한다. 귀어도 60대가 가장 많다. 젊은 층 유입은 거의 없고, 귀촌에서만 20·30대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데 이는 ‘정착형’이기 보다는 ‘이주형’ 특성이 강하다.
농어촌에서 필요로 하는 것은 생산과 소비를 동시에 떠받칠 세대교체형 인구인데, 지금의 흐름은 오히려 노년층 1인가구의 고립만 늘리고 있는 모양새다.
이런 흐름이 지속되면 농어촌의 사회적 비용은 더욱 커질 것이다.
때문에 정부와 지자체의 귀농·귀촌 정책에 대한 변화가 필요하다. 이전까지 해 온 단순한 ‘인원 늘리기’에서 벗어나야 한다. 귀농·귀어를 지역사회 공동체와 어떻게 연결할지, 청년층이 실제로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기반을 어떻게 마련할지에 정책의 초점을 맞춰야 한다.